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과학기술분야 최상위 자문‧심의 기구 통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과학기술분야 최상의 자문,심의 기구가 통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지난해 말 국회에서 의결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전부개정법률이 4월 17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통합)'는 기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자문기능에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심의기능을 더해 명실상부한 과학기술정책 최상위 자문,심의기구로 다시 태어난다.

새롭게 출범하는 '(통합)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전원회의, 자문회의, 심의회의로 구분해 운영된다. 모든 회의의 의장은 대통령, 부의장은 민간위원, 간사위원은 대통령실의 과학기술보좌관이 맡는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개편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자문과 범부처 과학기술 분야 예산배분 및 정책 심의의 연계 활성화가 기대된다. 자문기구와 심의기구 통합으로 현장의 목소리(자문)가 예산배분‧정책(심의)에 반영돼 과학기술정책이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모든 위원이 참여하는 '전원회의'가 신설돼 자문과 심의의 상호연계를 강화하고, 통합된 정책방향을 설정해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국무총리가 위원장이던 종전 '국가과학기술심의회'와 달리 '(통합)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며 그 근거를 헌법에 두고 있어, 과학기술 정책과 예산배분 심의기구의 위상도 높아질 전망이다.

'(통합)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등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4월 25일 첫 심의회의를 개최한다. 이어 5월 중에는 전체 위원이 참석하는 전원회의를 열어 국가 연구개발(R&D) 혁신방안 및 향후 자문회의 운영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