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MOSA, Neo4j와 그래프데이터베이스 공급 사업 본격 확대 협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박아람 기자 = (주)엠오에스에이(대표 이동원, 이하 MOSA)는 네오포제이(이하 Neo4j)와 그래프데이터베이스 사업의 본격적인 확장을 위한 협약을 10일 체결했다.

MOSA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6만건 이상 다운로드 된 커뮤니티 버전의 기존 사용자들과 기업용 가망 고객군에게 다양한 요구사항과 신규서비스에 접목될 Neo4j의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들은 MOSA가 제공하는 빅데이터 컨설팅 및 사업 수행 경험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의사 결정, 실시간 추천 시스템 등을 위한 신규서비스 기획에 보다 편리하고 통일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Neo4j의 그래프데이터베이스를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그래프데이터베이스란, 그래프 이론에 토대를 둔 일종의 NoSQL 데이터베이스다. 객체나 노드로 불리는 데이터 포인트를 플롯하고, 그래프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컴퓨터 과학 학문의 방법론이다.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열과 행으로 저장하고, NoSQL 데이터베이스는 많은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래프데이터베이스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데이터 포인트를 연결,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아시아투데이

Neo4j의 아시아 담당 Brandon Richards는 “전통적인 관계형 또는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는 테이블로 정리된다. 각 테이블은 고정된 수의 컬럼을 사용해 특정 형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며 각 컬럼은 자체적인 데이터 형식(정수, 시간·날짜, 자유 텍스트 등)을 갖는다. 이 모델은 주로 하나의 테이블 데이터를 다룰 때 가장 적합하다. 또한 여러 테이블에 걸쳐 저장된 데이터를 집계하는 용도로도 나쁘지는 않다. 관리하는 관계의 수가 적절하다면 이 방법은 실용적이다. 그러나 수백만, 많게는 수십억 개의 관계를 다룬다면(예를 들어 친구의 친구의 친구…) 이러한 쿼리는 효과적으로 확장되지 않는다. 간단히 말해 데이터 자체가 아닌 데이터 간 관계가 주 관심사라면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바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가 효과적이다.”라고 했으며, 그는 또 “수많은 한국 기업고객에게 빅데이터 처리 솔루션 - Splunk를 성공적으로 공급중인 MOSA와의 이번 협력을 환영하며, 향 후 실질적인 그래프데이터베이스 시장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Neo4j와의 협력으로, MOSA는 최근 출시된 Neo4j의 데스크탑 에디션을 한시적으로 무료로 배포하며, 기존 빅데이터 관련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통해 축적된 빅데이터 처리 역량과 Neo4j가 보유하고 있는 그래프데이터베이스 기술을 결합해 국내 기업 고객들의 압도적인 글로벌 1위 그래프데이터베이스인 Neo4j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의 공급이 본격적으로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투데이

Neo4j의 한국사업을 담당하는 김현석 사업총괄은 “현시점에서, 각 산업군의 기업고객이 필요로 하는 실시간 추천, ID 및 액세스 관리, 통신 영향 분석, 부정행위 방지 및 사기탐지라는 활용 사례가 가장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시간 추천과 관련, “대형 소매업체들은 모두 수십 년의 구매 기록을 보관하고 있다. 단순한 품목 리스트가 아닌 그래프를 기반으로 접근한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A가 3개 품목을 구입했고, B 또한 3개 품목을 구입했다. B는 구입하지 않았지만, 이 경우 A가 구입한 4번째 품목을 바탕으로 실시간 분석 및 추천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이러한 실제 추천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하여 대규모 개발비 책정 및 기술적 난이도등의 사유로 본래 의도와는 다른 결과물에 만족해야 했다. Neo4j의 혁신적인 ‘Easiness for algorithm deployment 방법’으로 하루에도 수 차례 변형된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 유럽지역에서 성공한 디지털 기업들에게 찬사를 받는 것을 볼 때, 국내에서도 유사한 방법론으로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아시아투데이

그는 또한 “기도입한 국내 대기업 고객이외에 최근의 상담 사례는, 날로 복잡해지는 금융업 FDS시스템 사용 고객과 실시간 추천 서비스를 원하는 디지털기업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사용사례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존의 Open Source 버전인 커뮤니티 에디션을 사용중인 기업 사용자가 손쉽게 기업용 버전인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으로 전환 할 수 있도록 파트너를 모집하고 대고객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Neo4j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www.neo4j.comwww.mobile-os.com 에서 제공된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