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인도진출 핀테크 업체 ‘밸런스히어로’, 네이버 등에서 250억 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누적 투자액 450억 원

인도에서 소액 대출, 공과금 납부, P2P 등 서비스

내년 목표, 인도에서 10억의 인도인에게 금융 앱 1억 다운로드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도 진출 핀테크 스타트업 밸런스히어로 (대표 이철원)가 25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2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시리즈 B2 투자사는 라인벤처스, 네이버, 신한은행, TS 인베스트먼트 등이다. 밸런스히어로는 앞서 2015년에 본엔젤스, 메가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8억 원을 시작으로 2017년부터 말까지 누적 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소프트뱅크벤처스, IMM 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 등으로부터 유치 받았다. 이로써 누적 투자액 450억 원을 달성했다.

밸런스히어로는 자체 개발 모바일 유틸리티 앱 ‘트루밸런스’를 인도에서 서비스 중이다.

트루밸런스는 선불요금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데이터 사용량 등 요금 정보를 알려준다. 인도 스마트폰 이용자 90% 이상이 선불 요금제를 사용하여 충전과 잔액확인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착안해 개발했다.

지난 2014년 인도에서 처음 출시된 이래 3년 만에 다운로드 5천만 건을 달성했으며, 작년에는 한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PPI(Prepaid Payment Instrument·선 지급 결제 수단) 라이선스를 인도 정부로부터 발급받은 바 있다.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인도에서 핀테크 플레이어로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트루밸런스 앱에 탑재된 모바일 월렛 기능으로 리차지(충전) 할부, 전기, 수도, 케이블 방송 등 공과금 납부, 소액 대출, 개인 간 송금 등의 서비스를 인도 유저들에게 제공하는 한편 글로벌 인재영입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철원 밸런스히어로 대표는 “이번 시리즈 B2 투자 유치로 인도에서 적극적으로 핀테크 서비스를 강화하고, 트루밸런스 앱 유저들이 보다 쉽게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내년 목표로 인도에서 모두를 위한 금융 서비스 제공으로 탑 핀테크 플레이어와 앱 1억 다운로드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밸런스히어로는 작년 초 데이터 분석 기업 ‘알렉스앤컴퍼니’를 인수하여 ‘데이터 퍼스트’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했고 올해 초에는 포스트 페이드(후불요금제) 기능을 탑재하여 단일 플랫폼에서 프리페이드(선불 요금제)와 같이 관리 및 결제를 가능하게 했다.

더불어 문재인 대통령의 중소·벤처기업인과 소상공인 청와대 초청, 만찬을 겸한 간담회에 창업혁신기업 대표 중 하나로 초청되기도 했다.

◇밸런스히어로는

2014년 설립된 국내 스타트업으로, 와이더댄, 엑세스모바일 등을 이끌었던 이철원 대표가 설립했다. 2014년 통신 및 데이터료 잔액 확인 서비스 기능을 담은 앱 ‘트루밸런스’를 출시했다.

◇트루밸런스는

트루밸런스는 밸런스히어로가 2014년 인도에 출시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우리나라와 달리 인도에서는 10억 명 중 95% 이상이 선불 요금제를 사용하며, 충전과 잔액 확인이 필수적라는 점에 착안해 개발 됐다.

트루밸런스는 잔액 안내 텍스트 메시지를 인포그래픽으로 전환하고, 사용자가 앱에서 잔액 정보 조회, 선불 계정 구매, 잔액 충전, 데이터 사용량 추적 기능을 손쉽게 이용하도록 했다.

지난 7월(출시 19개월 만)에 1천만 다운로드를 넘기고 2017년 2월 4천만을 달성했으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 라이프스타일 부문 1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달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타터 킷(App Starter Kit, 해당 국가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 앱 모음)에 선정된 바 있다.

무엇보다 트루밸런스는 직접 개발한 문자메시지 자동 해석 엔진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 국내와 인도 특허를 출원 중이다. 이 기술은 인도 22개 주요 지역에서 9개 통신사 선불 요금제 사용자에게 적용되며, 열악한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해 휴대폰에 데이터가 연결되지 않을 때에도 잔액 정보를 실시간 조회하도록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