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민평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 합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4석의 민주평화당과 6석의 정의당이 20석 규모의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기로 29일 확정했다.

이용주 평화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윤소하 정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 공동교섭단체 구성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에 따르면 공동교섭단체 첫 원내대표는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맡는다. 임기는 2개월로 양당 원내대표가 번갈아 맡는다. 국회에 다음달 2일 등록되는 시점부터 2개월간 노 원내대표가 맡고, 이후에는 장병완 평화당 원내대표가 공동교섭단체의 원내대표를 2개월간 맡는 형식이다.

명칭은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약칭 평화와 정의)'으로 명시하기로 했다. 양당은 그간 첫 원내대표 자리를 놓고 이견을 보였다.

하지만 막판 협상에서 평화당이 명칭을 양보받고, 첫 원내대표직을 정의당 측에 양보한 형태로 합의하게 됐다.

'평화와 정의'의 구성으로 국회에는 4개 원내교섭단체가 공존하게 됐다.

4~5월에는 개헌과 선거구제 개편 논의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이는데 '평화와 정의'의 합류로 개헌·선거구제 개편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개헌을 추진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은 환영하는 모양새다.

기존 3당 논의에서 민주당이 야2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과 대립하는 형국인데 이를 깰 수 있어서다. 범여권에 해당하는 '평화와 정의'가 논의에 합류하면 개헌과 선거구제 개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수 있다고 본다.

민주당은 특히 그 지렛대를 선거구제 개편으로 보고 있다. 선거구제 개편은 바른미래당과 '평화와 정의'가 개헌 논의의 우선순위에 놓고 있는 사안이다. 현재 마련된 개헌 테이블에서 바른미래당·'평화와 정의'가 선거구제 개편과 개헌 중재안을 제안하면 논의의 물꼬를 틀 수 있다는 게 민주당 분석이다.

[김효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