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산은 회장 “금호타이어 30일 데드라인…제3자 인수 고려안해"(상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금호타이어 운명을 가를 시한이 이달 30일이라고 재차 쐐기를 박았다. 이 회사 노동조합이 이날까지 중국계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끝내 반대하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넣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타이어뱅크 등 국내 제3 기업의 인수 제안도 금호타이어 중국 공장 회생 방안이 없는 한 현실 가능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금호타이어 자율 협약(채권단 공동 관리)이 종료되면 다음주 월요일에 돌아오는 수백억 원 규모 어음이 부도 처리되고 금호타이어가 상장 폐지 절차에 들어가는 등 법률 절차에 따라갈 수밖에 없다”며 “이달 30일은 모든 게 겹쳐진 데드라인(한계선)”이라고 밝혔다.

그는 “더블스타로의 매각이 무산되면 저희는 법정관리로 가는 기계적인 절차만 남을 뿐”이라며 “어음이 부도나고 증권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되는 것은 저도, 청와대도, 아무도 못 막는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전날 국내 타이어 유통업체인 타이어뱅크가 금호타이어 인수를 추진하겠다고 나선 것은 이번 매각에서 전혀 고려할 대상이 아니라고 잘라 말했다. 금호타이어 노조가 “복수의 업체가 인수 의향이 있는 상태”라고 주장하는 것도 30일 시한을 연기할 이유는 아니라고 했다. 그는 “인수 능력이나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생각되는 그런 업체만 거론될 뿐”이라며 “저희와 직접 접촉한 적 없는 현실성이나 가능성이 굉장히 낮은 제3자가 갑자기 나타났으니 해외 매각을 철회하거나 연장하자는 것은 이 시점에서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국내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기업은 거의 다 접촉했다. 그러나 대부분 의사가 없거나 관심이 없어서 거절당했다”면서 “제3자를 위한 문이 열려있었던 만큼 충분히 기회를 준 것으로 생각하며 더블스타로의 매각을 무산시키기 위한 제3자 협의라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재차 설명했다.

타이어뱅크 등의 인수 협상 제안을 수용할 수 없는 주된 이유는 금호타이어 중국 사업장 회생 방안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중국 공장 정상화가 금호타이어 회생의 핵심”이라며 “금호타이어 지분 45%를 6463억원에 사는 것으로 해결되는 게 아니다. 실무진 검토 결과 중국 공장 정상화에만 6000억~7000억원 정도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공장을 떼어내서 파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어느 누가 들어와도 중국 공장 정상화 방안을 가져와야 한다”고 했다. 산업은행이 중국계 더블스타를 금호타이어 인수 기업으로 낙점한 것도 더블스타가 자체 판매망 등을 활용해 금호타이어의 중국 내 부실 사업장을 되살릴 수 있으리라 기대해서다.

이 회장은 “금호타이어 노조와 계속 접촉을 시도하고 있지만, 접촉이 안 되고 있다”며 “노조 집행부 2명이 금호타이어 직원 5000명과 그 가족의 생존권을 쥐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현행법상 금호타이어 노조가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동의했음을 인정받으려면 노조 집행부가 직접 해당 안건을 부의(附議)해야 한다. 그러나 금호타이어 노조는 찬반 투표 대신 오는 30일 또다시 해외 매각에 반대하는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그는 “30일이 지나면 그다음엔 이동걸은 없다. 법률적 절차로 갈 수밖에 없다”면서 “감정적인 대응 없이 금호타이어를 살리고 금호타이어 직원 5000명의 생존권과 삶을 지킬 가장 좋은 방법이 뭔지 진지하게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