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 급증…작년 2만5천건 차단 요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짜 발기부전치료제·각성제·흥분제, 영양제, 파스 많아

최도자 의원 "4년간 34% ↑…정부 더욱 철저한 관리 필요"

가짜 발기부전치료제·각성제·흥분제, 영양제, 파스 많아

최도자 의원 "4년간 34% ↑…정부 더욱 철저한 관리 필요"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온라인에서 불법으로 판매되는 의약품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및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차단을 요청한 건수가 지난 4년간 33.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바른미래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 불법판매 의약품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및 인터넷 포털 차단 요청 건수는 2013년 1만8천665건, 2014년 1만9천649건, 2015년 2만2천443건, 2016년 2만4천928건, 지난해 2만4천955건으로 매년 늘어났다.

이들 11만640건을 품목별로 보면 발기부전치료제 표방제품이 4만5천517건(41.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각성·흥분제 표방(7.9%), 비타민 등 영양제 표방(7.7%), 파스 표방(4.6%), 피부(여드름·건선)치료제 표방(4.5%), 발모제 표방(4%), 안과용제 표방(3.3%), 위장약 표방(3.2%), 조루치료제 표방(2.3%), 스테로이드제 표방(2.1%) 제품 등의 순이었다.

4년간 차단 요청 증가율은 피부(여드름, 건선)치료제 표방제품이 206.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위장약 표방(184.4%), 스테로이드제 표방(135.6%), 조루치료제 표방(98.6%), 파스 표방(96.8%), 발기부전치료제 표방(77.6%) 제품 순이었다.

반면 비타민 등 영양소 표방제품은 차단 요청 건수가 67.3% 감소했다.

최 의원은 "온라인 불법판매 의약품은 위·변조 가능성이 있고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 복약지도가 없어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며 "이에 대한 정부의 더욱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11월 온라인으로 불법판매되는 성기능개선 표방제품 20건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함량이나 성분이 표시사항과 다른 것으로 확인되는 등 모두 가짜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합뉴스

압수된 발기부전치료제 [연합뉴스 자료사진]



withwi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