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와우! 과학] 그 옛날 ‘시조새’ 알고보니 꿩처럼 날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그 옛날 ‘시조새’ 알고보니 꿩처럼 날았다(JANA RŮŽIČKOVÁ/ES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쥐라기 후기에 출현한 ‘시조새’가 꿩처럼 날았다고 과학자들이 13일(현지시간) 밝혔다. 1억5000만 년 전에 존재한 시조새가 비행 능력이 있어 포식자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다.

최근 프랑스 유럽싱크로트론방사선연구소(ESRF) 등 유럽 연구팀은 입자가속기 ‘싱크로트론’을 이용한 분석 연구에서 ‘시조새’로 알려진 아르카이오프테릭스(Archaeopteryx)가 꿩처럼 짧지만 폭발적인 비행 능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는 논문을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최신호(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싱크로트론에서 나오는 강력한 X선 ‘싱크로트론 광선’을 이용했다. 이 광선은 의료용 X선보다 100만 배나 강력할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전자장 스펙트럼을 커버할 수 있어 물질 내부를 분자와 원자 수준에서 투시할 수 있다.
서울신문

이번 연구에 쓰인 시조새의 상완골과 척골 이미지.(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조새 화석 표본에서 날개를 받치는 상완골 등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니 뼈 단면 대부분이 비어있었다. 당시 살았던 작은 공룡 등과의 비교에서는 경량화도 확인됐다. 특히 공룡과 익룡, 그리고 현생 조류 등 총 69종의 뼈 특징과의 통계적인 분석에서는 시조새가 스스로 짧지만 폭발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SRF의 데니스 보텐 연구원은 "시조새가 꿩이나 공작처럼 나는 것이 확인된 것"이라면서 “시조새는 부수적이지만 능동적으로 비행하는 데 최적화돼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신문

시조새 화석 표본(PASCAL GOETGHELUCK/ES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조새는 1861년 독일 석회암 채석장에서 처음 발견된 뒤 줄곧 진화론의 우상이 됐다. 오늘날 까마귀와 크기가 비슷한 이 생물에게 깃털로 덮인 날개뿐만 아니라 주둥이에 날카로운 이빨이 있어 조류와 파충류 특징 모두를 보이기 때문이다.

또 시조새는 그 비행 능력을 두고 오랫동안 과학자들 사이에서 상반된 논의가 이뤄졌다. 이들 생물이 다른 육상 공룡처럼 단지 장식으로 깃털을 달고 있었는지 아니면 나무에 살며 뛰어내리듯 활공했는지, 또 그게 아니면 스스로 날 수 있었는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웰 메이드 N],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인기 무료만화]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