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MB 소환]특활비가 단초, 측근들 입 열고…다스 ‘꼬리’ 잡혀 혐의 눈덩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B 수사 결정적 장면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은 지난 1월 이명박 정부 국가정보원이 청와대에 특수활동비를 상납한 정황을 포착한 뒤 두 달 동안 쉴 틈 없이 달려왔다. 오는 6월 예정된 지방선거가 본격화되기 전에 수사를 마치려면 3월에 이 전 대통령을 조사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 전 대통령의 형 이상득 전 의원과 사위 이상주 삼성전자 전무 자택을 포함해 압수수색만 12차례 진행했고, 가족·측근·재산관리인 등 이 전 대통령 주변인 수십명이 수사선상에 올랐다. 그 결과 이 전 대통령의 110억원대 뇌물수수 혐의를 포착했다. 검찰이 이 전 대통령 혐의를 밝혀내 14일 소환 조사하는 데 이르기까지 몇 차례의 결정적인 변곡점이 있었다.

■ 국정원 특활비 청와대 상납 포착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특활비 유용 혐의를 수사하던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지난 1월 특활비 일부가 청와대로 흘러간 정황을 포착했다. 이것이 사실상 이 전 대통령 뇌물 수사의 시작이다. 원 전 원장은 이 전 대통령의 ‘복심’이기 때문에 상납 과정에 이 전 대통령의 지시·관여가 있을 개연성이 컸기 때문이다.

검찰은 그동안 이 전 대통령 관련 여러 수사를 진행했지만 ‘원세훈 국정원 정치공작’이나 ‘국군 사이버사령부 댓글공작’ 등에서 뚜렷한 혐의점을 찾지 못해 고심하던 차였다. 검찰은 1월12일 이 전 대통령의 측근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을 동시에 압수수색하면서 이 전 대통령 수사 본격화를 천명했다.

■ 돌아선 집사·보좌진

이 전 대통령을 의원 시절부터 가까이 보좌한 김희중 전 실장은 검찰 조사에서 자신이 국정원에서 받은 10만달러(약 1억원)를 2011년 이 전 대통령 부인인 김윤옥 여사 측에 전달했다고 인정했다. 이 전 대통령의 40년 지기로 ‘집사’ 역할을 맡아 온 김백준 전 기획관은 혐의를 인정하지 않다가 1월17일 구속 후에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이 전 대통령 지시로 특활비를 받아 청와대 수석비서관·장관 등에 나눠줬다”고 자백했다.

결국 2월5일 기소된 김 전 기획관의 공소장에 이 전 대통령이 뇌물수수의 ‘주범’으로 명시됐다. 김 전 기획관은 다스 소유 관계나 다스 소송비 대납에 대해서도 실마리를 풀 주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 꼬리 잡힌 다스 소송비 대납

비슷한 시기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는 다스가 미국에서 진행한 투자금 140억원 반환 소송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검찰은 다스가 미국 유명 로펌 에이킨검프를 선임하고도 소송 비용을 내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검찰은 이 돈을 누가 냈는지 추적했다. 결국 김 전 기획관의 진술과 다스 내부 문건 등을 통해 삼성전자가 대납한 정황을 찾았다. 검찰은 이를 바탕으로 2월8일 삼성전자와 이학수 전 삼성그룹 부회장 자택 등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 전 부회장은 검찰에 자수서를 내고 혐의를 인정했다.

■ 증거 가득 찬 영포빌딩 지하창고

검찰은 1월25일 서울 서초동 영포빌딩의 다스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던 중 지하에 다스 비밀 창고가 있음을 알아내 저녁 시간에 다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1월31일엔 같은 장소를 재차 압수수색했다. 한 번 압수수색한 곳에 다시 올 거라고 예상 못하고 가져다 놓은 청와대 문건 등을 다량 확보할 수 있었다. 검찰은 이 자료들을 통해 김소남 전 의원의 공천헌금과 대보그룹의 관급공사 청탁 등 다수의 뇌물 수사 단서를 추가로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은 다스 회장의 지분을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에게 옮기는 방안을 논의한 문건(프로젝트 Z) 등 다스가 이 전 대통령 소유임을 보여줄 문건도 다수 입수됐다.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