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8 (금)

[유태우의 서금건강법] 대동맥판막협착증엔 대장승방ㆍ신정방ㆍ상응점 자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태우 고려수지침학회 회장
한국일보

대동맥판막협착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령자에게 대동맥판막협착증이 새로운 위험 질환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동맥판막이 좁아지면 혈액을 전신에 보내기 어렵고, 심장은 더욱 강하게 수축한다. 그러다 보면 결국 흉통·호흡곤란이 나타나고 심하면 실신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런 환자를 음양맥진법으로 확인하면 총경동맥이 크고 굵게 박동하는 부돌맥 2성에서 3~5성 이상 나타난다.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와 같이 부돌맥이 크게 항진된다. 병원에서 수술받은 환자는 1~2년 내에 다시 음양맥상이 악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심한 불안감·흉통·호흡곤란·무기력증에 시달린다. 이때는 방광이나 대장·위장질환이 교감신경을 긴장·항진시키고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위·대장질환으로 교감신경이 긴장되는 것을 막으려면 대장승방이 좋고, 전립선질환으로 위의 증상이 나타나면 방광승방이나 신정방이 큰 도움이 된다. 대장승방은 D2·6, I38, H6이 혈점이고, 신정방은 신장 기능을 강화하는 부교감신경 우위 치방(治方)인 J3·5, C7, F5이다. 여기에 A12·14·16·18 상응점을 자극한다(손 부위의 요혈 자극은 교감신경 저하를 돕는다). 경락의 침 자극은 교감신경을 긴장시키므로 주의한다.

압진봉으로 10~30초 간헐적으로 압박하거나 금봉 은색 소형을 붙이면 안정을 취할 수 있다. 만약 증상이 심하면 좌수 제2지에 장반지(특수 제작된 반지)를 끼우면 큰 도움을 얻는다. 가벼운 경우에는 골무반지를 끼워도 좋다. 또는 서금금은반지를 끼는 것도 도움된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목 부위의 총경동맥이 극심할 정도로 굵게 뛰는 게 특징이다. 이 맥상을 조절하기는 극히 어렵다. 따라서 서암목을 목에 걸고 있거나 군왕산삼을 먹으면 교감신경을 떨어뜨려 협착증 해소에 도움이 된다.
한국일보

유태우 고려수지침학회 회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