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스타 매각 외엔 선택지 없다는 채권단 vs 법정관리가 낫다는 노조 첨예한 입장차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금호타이어의 해외매각에 대해 채권단과 노조가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채권단은 금호타이어를 살리기 위해서는 더블스타로의 매각 외엔 다른 선택지가 없다며 노조를 압박하고 있지만, 노조는 "매각보다 차라리 법정관리가 낫다"는 입장을 고수해 험로가 예상된다.
'쌍용차, 한국GM 사태' 처럼 기술유출과 먹튀, 고용불안과 국부유출 등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노조와 산은 등 채권의 강대강(强對强) 대치 국면으로 치닫는 금호타이어와 관련 3가지 쟁점을 짚어봤다.
◆해외 매각보다 법정관리가 낫다? =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중국 타이어업체인 더블스타에 금호타이어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총 6463억원을 투자해 주당 5000원에 금호타이어 지분 45%를 인수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노조의 반대다. 노조는 "회사가 더블스타로 넘어가는 대신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것이 낫다"는 입장이다. 실제 법정관리는 채권단이 사사건건 간섭하는 워크아웃이나 자율협약과 달리 이점도 있다. 워크아웃은 동결되는 채무가 금융권에 한정되지만 법정관리는 비금융권과 일반상거래 채무까지 포함된다. DIP제도(기존관리인 선임제도)를 통해 경영권 유지도 가능하다. "해외에 매각돼 시한부 인생을 살 바에는 차라리 법정관리로 가서 그동안 고질병이었던 채무 재조정에 나서는 게 낫다"는 게 노조의 입장이다.
하지만 금호타이어의 청산가치가 더 높아 법정관리가 기각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법정관리가 진행이 되려면 기업의 청산가치보다 존속가치가 높아야 한다. 청산가치에는 퇴직금 등 인건비와 투자계획의 타당성, 유형자산의 현재가치 등이 포함된다. 실제 산은은 삼일회계법인의 실사결과를 언급하며 금호타이어가 현 사업구조를 유지하면 계속기업가치(4600억원)가 청산가치(1조원)의 절반 수준을 밑돈다고 언급했다.
설사 법정관리 신청이 승인된다하더라도, 모든 채권과 채무가 동결됨에 따라 해외 영업망이 무너지는 것은 문제로 남는다. 채권단 관계자는 "(법정관리는) 가보지 않은 길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법정관리에 가게 되면 해외 판매 네트워크가 훼손돼 해외공장들이 매각되거나 문을 닫아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내수 위주의 타이어회사를 만들어야 한다. 다만 그것 조차 신규유동성이 필요한데 자금수혈이 현재로선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매각제한 이후 먹튀 우려…정치권·지역사회 압박도 변수 = 노조는 해외매각 후 '먹튀'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쌍용차 사태나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한국GM의 경우처럼 몇 년 후 한국 내 공장이 문을 닫게 될 것이란 걱정이다. 실제 산은은 더블스타와 계약 과정에서, 더블스타는 매각제한 3년, 채권단은 5년의 매각 제한 규정을 달았다. 더블스타는 유증 참여를 통해 5년, 특히 채권단이 엑시트하기 까지 최대주주를 유지해야한다.
문제는 5년 이후다. 매각 제한 규정에서 벗어난 이후 한국 공장 철수를 하는등 GM과 같은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다만 채권단의 분위기는 다르다. 채권단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현대 기아차가 극단적으로 더이상 국내에서 자동차 생산을 하지 않는다면 나갈수도 있겠지만, 국내 자동차 공장이 있는 한 타이어공장은 존재할 수 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면서 지금으로선 투자를 받아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과 지역사회의 압박이 거세지는 것 역시 금호타이어 해외 매각의 변수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이같은 외부의 압력을 버텨가며 매각을 추진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실제 5일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성명을 내고 "빚을 회수하려는 자본의 논리로 노동자들의 의견을 철저히 무시한 채 진행되고 있는 금호타이어 해외 매각은 즉각 중지되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금호타이어 문제는 노사 합의에 따라 결정되야 하며 채권단이 일방적으로 결정해 통보할 사안은 아니다"고 말했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금호타이어 문제는 한 기업이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 근간을 흔들 수 있는 문제"라며 "해외 매각은 노조의 동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융권에선 금호타이어의 자구책이 진행되지 않으면 금타는 해외매각 성사와 상관없이 실적이 악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금타는 지난해 1569억원의 적자를 내며 2009년 이후 8년만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