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 달 말미' 얻은 금호타이어… 임금·복지 등 합의 과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채권단서 차입금 만기 연장 합의 / 법정관리 없이 노사 자구안 협상

세계일보

금호타이어 채권단이 차입금 만기를 한 달 더 연장해주기로 했다. 법정관리 문턱에 섰던 금호타이어는 사태 해결을 위한 한 달간의 말미를 얻게 됐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이날 오후 실무자 회의를 열어 채무 상환유예 결정을 3월 말로 미루기로 합의했다. 한 달 동안 금호타이어에 채무상환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이 동안은 법정관리와 같은 극단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이 기간 내에 합의를 통해 경영정상화 계획(자구안) 이행약정서(MOU)를 체결해야 한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합의 마감 시한인 지난 26일을 넘겨 이날까지 협상을 진행했으며, 이날 일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모습이다.

‘해외 매각’에 대해 노사는 “해외 자본 유치가 불가피할 경우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추진한다”는 데 의견 접근을 이뤘다. 노조 관계자는 “노조가 자구안에 서명하면 채권단은 해외 매각 시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추진한다는 합의서 문구를 작성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합의’는 노사 간 의사가 일치돼야 가능한 반면 협의는 교섭 결과와 무관하게 사측이 추진할 수 있다. 법적 구속력을 부여해 달라는 요구다. 사측과 채권단은 노조가 임금삭감과 생산성 향상 등 추가적인 고통분담을 수용할 경우 ‘협의’란 문구를 ‘합의’로 수정할 수 있다고 제시했고, 노조도 이를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가 이 문제에서 물러서지 않은 것은 고용 문제와 직결된다는 판단에서다. 해외로 매각될 경우 일시적으로 생존할 수 있지만 쌍용자동차, 한국GM 사태에서 확인되듯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기술만 빼먹고 한국 사업장을 정리하는 수순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채권단은 제3자 유상증자(외부자본 유치) 방식으로 금호타이어의 새 주인을 찾고 있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 중국의 더블스타가 거론된다.

남은 과제는 임금 삭감, 성과급 및 복지 혜택 축소, 생산성 향상 등 ‘충분하고도 합당한 수준의 자구 노력과 이행 약속’에 합의하는 것이다. 노조가 제시한 자구계획에 대해 채권단은 조율을 계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금호타이어는 생산라인이 가동돼야 하기 때문에 노조 협조 없이는 채택할 수 있는 대안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조현일·이진경 기자 cona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