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금호타이어, 노사합의 불발, 결국 P-플랜?…채권단의 선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를 위한 노사합의가 불발됨에 따라 향후 채권단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합뉴스


금호타이어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채권단이 제시한 노사의 자구안 합의가 불발됐다.

채권 만기가 오는 28일임을 감안하면 채권단이 법정관리 등 선택지를 놓고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은 이제 이틀이다.

노조가 해외매각 철회를 합의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만큼 막판 극적 합의보다는 법정관리로 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을 졸업한 지 만 3년 여 만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 노사는 이날 오전 '2016년 단체교섭 및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본교섭'에서 채권단이 요구한 자구계획안 등을 논의했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특히 노조가 해외매각 관련 사실이 확인될 때까지 교섭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막판 합의에 대한 기대감도 낮아졌다.

채권단은 자율협약 체제에 들어간 금호타이어의 채권만기를 1년 연장해 주는 대신 노사의 자구안 합의를 조건으로 달았다. 합의가 불발되면 오는 28일 돌아오는 1조3000억원 규모의 차입금 만기도 연장되지 않는다.

이제 채권단에게 남은 시간은 이틀이다. 27~28일 사이에 채권단 협의회를 열고 금호타이어의 운명을 결정지어야 한다.

채권단은 앞서 노사합의가 안 되면 채권만기를 연장하지 않고 법정관리 절차에 돌입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실제 실행에 나설 지는 미지수다.

채권단은 지난해 12월에도 금호타이어에 대해 단기 법정관리의 일종인 프리패키지드 플랜(P-플랜)을 검토했다가 무산된 바 있다. P-플랜은 법원이 강제 채무조정을 한 뒤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이 혼재된 기업 회생 절차다.

당시 채권단의 손실 우려보다는 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칠 영향을 이유로 P-플랜이 아닌 자구안 합의와 자본유치로 방향을 돌린 만큼 이번에도 최종 결과는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금호타이어의 국내 임직원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5040명에 달한다. 협력업체까지 합하면 금호타이어로 영향을 받는 고용 인원은 1만명이 넘는다.

산업은행 등 채권은행단 입장에서는 P-플랜으로 간다고 해도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여파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해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4분기에 미리 금호타이어 관련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뒀다.

금호타이어가 P-플랜에 돌입할 경우 은행들이 적립해야 할 충당금은 70% 내외다. 국민은행은 이미 100% 가까이 충당금을 적립했고, 우리와 신한도 지난 4분기에 충당금을 추가로 쌓아 적립률이 70~80%에 달한다.

한편 이날 코스피시장에서 금호타이어 주가는 노사 합의 무산 소식에 지난 주말 대비 1030원(16.43%) 급락한 524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안상미 기자 smahn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