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인플레이션 쓰나미' 온다는데…'대형 인플레' 겪은 버핏의 조언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매력, 현금 창출력, 가격 잘 올리는 회사 주목해야" ]

머니투데이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가장 큰 화두는 인플레이션이다. 강한 경제 성장세에도 한동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수수께끼'로 여겨졌던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마침내 높아질 조짐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쓰나미'에 대한 공포가 이달 초 한바탕 시장을 휩쓸고 지나갔다.

금융시장이 다시 안정을 되찾긴 했지만 시장 한편에는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남아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난 10년간 인플레이션의 반대인 디플레이션을 더 걱정해온 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은 낯설어 더 두려운 상대다.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는 최근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만큼 인플레이션을 잘 아는 이도 드물다며 그가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 이른바 '대인플레이션'(Great Inflation) 시대를 겪으며 터득한 투자 전략을 소개했다.

1972~73년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연간 6%를 돌파하며 2배로 뛰었고 74년에는 11%, 79~80년엔 최고 13.5%까지 치솟았다. CNBC는 72~73년에만 S&P500지수가 40% 추락했다며 증시에서 70년대 초부터 80년대 말은 '잃어버린 10년'이 됐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1%를 기록했다.

버핏은 당시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서한에서 인플레이션이 증시와 기업 실적,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버핏의 생각은 1977년 5월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에 쓴 글에도 잘 요약돼 있다.

그는 이 글에서 인플레이션을 의회에서 정한 어떤 것보다 더 강력한 세금에 비유했다. 인플레이션이 돈값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버핏은 "인플레이션세(稅)는 쉽게 자본을 소모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졌다"며 인플레이션세에 맞서 증시를 들락거리며 춤을 출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가 있다면 자신은 그의 파트너가 아닌 주식 중개인이 되고 싶다고 썼다. 인플레이션 시대에 증시에서 돈을 벌긴 어렵다는 얘기다.

같은 이유로 버핏은 일이 잘 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는 인플레이션을 기억하라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이다. 버핏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을 때는 기업 실적이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도 했다. 돈값이 떨어지면 실적이 부풀어 오르는 착시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드러난 실적보다 투자 결과 자신의 구매력이 얼마나 좋아졌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버핏은 인플레이션을 기생충(tapeworm)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탄탄하지 않은 기업일수록 기생충에 취약하고 투자자들은 더 그렇다고 지적했다.

버핏은 또 인플레이션 시기에 버크셔가 선호하는 인수 대상 기업은 현금을 쓰기보다 창출하는 회사라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이 한창일 때 기업들은 보통 기존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돈을 쓰는 데 집중한다. 돈값이 더 떨어지기 전에 쓰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에서지만 버핏은 신기루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같은 맥락에서 그는 인플레이션이 한창일 때 돈을 많이 쓰지 않으면서도 더 많은 사업을 운용하고 쉽게 가격을 올릴 수 있는 기업에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기업들이 인수한 회사들은 대개 인플레이션에 잘 적응한 곳들이라며 점유율이나 매출 손실을 걱정하지 않고 가격을 쉽게 올리고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로 많은 수익을 창출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버핏은 1980년에 쓴 서한에서 인플레이션의 해법은 없지만 희망을 가질 이유는 있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을 사람이 만드는 만큼 결국 통제할 수 있는 것도 사람이지 않겠느냐는 이유에서다.

김신회 기자 raskol@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