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런던에서 온 편지]30. 안보 우려에..英정부VS 美테크기업 갈등 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런던=이데일리 이민정 통신원]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순기능은 분명히 있습니다.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을 더욱 손쉽게 하죠. 특정 메시지가 공유를 통해 단시간에 빠르게 퍼지는데도 기여했습니다. SNS 순기능의 성공적인 예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최근 성폭력 고발 캠페인 ‘미 투(me too)’ 캠페인이 꼽히는데요. SNS는 이 캠페인이 빠른 시간 내 전 세계로 확산하는 데 큰 역할을 했죠.

물론 SNS의 역기능도 있습니다. SNS를 적당히 네트워킹 도구로 활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너무 많은 시간을 남의 사생활을 엿보거나, 상대방의 대답을 기다리는데 허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SNS 중독은 정신 건강에 해롭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글, 유튜브 등 인터넷 검색 엔진이나 동영상 제공 플랫폼도 마찬가지죠.

컴퓨터 앞에 앉아 검색어를 누르기만 하면 도서관을 가지 않아도, 음반을 사지 않아도 원하는 자료를 보거나 원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런데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연관된 검색어, 연관된 동영상 등을 이것저것 눌러보다가 컴퓨터 앞에 앉은 목적을 어느새 잊어버리고 정보의 바다에 빠져 허우적거리다가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페이스북, 구글 등 미국에 본사를 둔 공룡 테크기업들은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의 검색 결과나 인터넷에 남긴 행적을 차곡차곡 모아다가 광고세일즈에 활용합니다.

이 엄청난 정보를 바탕으로 일반 기업들에 타깃 소비자들을 정확히 선정해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해줄 수 있다고 유인하죠. 인터넷 광고 시장이 페이스북과 구글에 대부분 몰리고 있는 것도 이들이 전 세계 엄청난 규모의 유저들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일반 기업들이 페이스북이나 구글에 광고를 했을 때 광고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만 연결하면 검색 엔진을 통해 어떤 자료도 찾을 수 있고, 멀리 있는 누군가와 언제든 연결될 수 있다는 편리함과 비교하면 이들 기업이 나의 인터넷 사용 행적과,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제공한 나의 개인정보 등을 자사 마케팅이나 광고 세일즈에 쓰는 활용하는 것은 지불해야 할 대가라고 생각하고 그냥 넘길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저들이 그러고 있고요.

그런데 최근 영국에서는 빈번히 일어나는 테러와 맞물리면서 이들 테크 기업들의 데이터를 두고 영국 정부와 미국 테크 기업들과의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미국 테크기업들이 자사 서비스 이용 유저들의 정보를 광고수익 등 이윤 추구에는 무자비하게 활용하면서 테러 예방을 위해 영국 정부가 요청하는 개인 간 메시지 사용 내역 등 데이터 제공 요구에는 응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 영국 정부는 이들 기업이 자사 웹사이트에 올라온 테러집단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거나 극단주의 성향의 콘텐츠를 너무 늦게 삭제하면서 결국은 정부가 제어에 나설 수밖에 없게 만들고, 그러면서 테러 위협에 대응하는 데 있어 정부의 비용을 과도하게 높이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영국 정부는 이들 기업들이 극단주의 콘텐츠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벌금(새로운 세금 도입 등)까지 물릴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습니다.

벤 월러스 영국 안보 장관은 최근 선데이타임스 인터뷰에서 테크기업들이 온라인상에서 사람들을 극단주의화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주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극단주의 성향의 콘텐츠들이 빠른 시간 내 삭제되지 않아 정부가 이미 극단주의화 된 사람들의 성향을 돌리는데 많은 비용을 소모하게 한다”며 “페이스북이 소유한 왓츠앱이 안보 당국의 메시지 데이터 접근 권한을 막으면서 온라인을 무질서하고 폭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죠. 그러면서 “그들은 우리의 정보를 기업들에 무자비하게 팔면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에는 제공하지 않는다”며 “그들이 이윤을 추구하는 무자비한 집단이 아니라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고 강조했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더 많은 인력과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극단주의 성향과 불법적인 콘텐츠를 찾아내는 데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최근 영국 정치인들의 강력한 어조의 발언들을 보면 영국 정부는 이들 테크기업들이 영국의 테러 예방을 위해 더욱더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올해 더욱 본격화될 안보와 데이터를 둘러싼 영국 정부와 미국 테크기업의 줄다리기를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