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미국의 조치는 예상을 뛰어넘는 것인 데다 근거도 빈약하다. 세계무역기구(WTO)의 규범을 무시하고 자국 산업만을 보호하기 위한 일방적인 결정이기 때문이다. WTO 협정상 세이프가드를 발령하려면 급격한 수입증가, 국내 산업의 심각한 피해, 수입증가와 심각한 산업피해 간 인과관계 성립 등의 조건에 맞아야 하지만 이번 건은 이를 충족하지 못한다. 더욱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가 한국산 세탁기는 산업피해의 원인이 아니라고 판정했음에도 이를 무시했다. 결국 트럼프 정부가 미국 세탁기 제조업체 월풀의 ‘산업피해’ 주장에 부화뇌동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미국의 태양광산업이 어려움에 처한 것도 풍력과 가스 등 다른 에너지원과의 경쟁 격화와 경영실패 탓이 더 크다. 한국산 제품에 책임을 물을 일이 아니다. 이번 조치는 무역 관련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을 확연히 드러낸다. 미국의 국익을 위해서라면 국제규범도 아랑곳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트럼프발 미국의 통상압력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 재협상을 비롯해 철강 분야의 수입규제 등 넘어야 할 산이 줄줄이 놓여 있다. 정부는 국익이 손상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세이프가드 발동에 대해 즉각 WTO에 제소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그러나 여기서 그쳐선 안된다. 이번 세이프가드에 관련된 국가들과 공동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미국과 중국 등에 편중된 수출구조를 다변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비싸도 소비자 선택을 받는 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기술을 혁신하는 것은 물론이다.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 [인기 무료만화 보기]
▶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