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 강남까지 20분 거리… 검단산·금암산 둘러싸인 생태환경 신도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

㈜서광디앤에프는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도시에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를 분양 중이다. 하남 미사강변도시 6-2블록에 위치한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는 연면적 2만 7317.06㎡, 지하 4층~지상 10층 1개동, 지식산업센터(오피스) 174실, 기숙사 154실로 구성된다.

조선일보

지식산업센터 174실, 기숙사 154실로 구성된는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 풍부한 주차공간을 갖췄고 옥상정원, 지하썬큰, 공동취사시설, 휴게실 등 각종 지원·휴식시설도 있다. /㈜서광디앤에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설 하남 미사강변도시는 총 사업면적 546만 3000㎡(약 165만 3000평)에 약 3만 7000여가구의 공동주택이 입주할 예정이며, 오피스텔 및 각종 복합업무시설도 함께 들어서는 생태환경 신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교통환경도 좋다. 올림픽대로, 외곽순환로 등이 가까워 차량을 이용하면 서울 강남까지 20분대, 경기도 성남시 분당까지는 30분대 진입할 수 있다. 더불어 수도권 간선급행버스(BRT)도 운행 중이라 수도권 전역으로 이동하기 쉽다. 신규 교통망 건설에 따른 서울 및 수도권 접근성 향상 및 인구유입 증가도 기대된다. 지하철 5호선과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각각 2020년, 2025년 개통 예정이다.

미사강변도시는 주변에 검단산, 금암산 등 쾌적한 자연환경을 갖춰 기업들이 입주하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스타필드 하남을 비롯해 고덕상업업무 복합단지, 강일첨단업무단지, 엔지니어링 복합단지 등 대규모 업무단지와도 인접해 있다.

서광디앤에프 관계자는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는 경제적, 효율성 높은 비지니스 환경을 제공한다. 먼저 입주기업들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풍부한 주차공간을 갖췄다. 법정 기준 대비 170%이상인 183대 주차공간을 제공한다"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5대의 일반 엘리베이터와 2.5톤 화물 엘리베이터가 운영되며, 지식산업센터 내부에는 옥상정원, 지하썬큰, 공동취사시설, 휴게실 등 각종 지원·휴식시설도 있다"고 소개했다.

그 동안 하남 미사강변도시에서 볼 수 없었던 차별화된 상품도 눈길을 끈다. 하남 미사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전용 23~75㎡로 구성되며 그 중 전용 36㎡이하 소형 섹션 오피스형이 다수를 차지한다. 세대별로 발코니 서비스 면적도 제공한다. 기존 하남 미사강변도시에 분양한 지식산업센터 약 90%가 전용 50㎡ 이상의 중대형 규모로 분양했다. 여기에 특화설계를 도입해 공간 활용도를 넓혔으며 침실, 작업실, 서재 등 입주기업의 니즈에 맞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기숙사 역시 선호도 높은 특화설계가 적용됐으며 빌트인 콤비 냉장고, 빌트인 세탁기, 2구전기쿡탑, 주방레인지 후드 등을 갖춘 풀옵션으로 설계된다. 게다가 미사지구 최초로 홈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시스템도 도입하여 모든 가전제품의 제어도 가능하다.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는 다양한 금융혜택도 겸비했다. 분양관계자는 "기숙사는 공급가가 9000만원대로 주변 오피스 및 오피스텔에 비해 최고 1억원 이상 저렴하다. 지식산업센터도 중도금 무이자 혜택을 제공한다"며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대상업체에 한해 취득세 50%와 재산세 37.5% 감면혜택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가 인근 오피스·기숙사에 비해 저렴하게 분양가가 책정돼 실수요자들의 관심도가 높다"며 "강일역 역세권에 위치한데다 풍부한 배후수요를 갖추고 있어 투자자들의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남 미사 에코큐브 지식산업센터 분양 홍보관은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 중앙로 173 리버에비뉴 311호에 위치한다.



[고석태 객원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