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금융당국 이어 정치권까지 압박…하나금융 회추위 '사면초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조·시민단체 압박 이어 금융당국 "회추위 일정 연기" 권고…정치권도 토론회]

머니투데이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이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학영, 진선미, 제윤경, 김해영 의원의 주최로 열린 CEO 리스크에 노출된 금융지주 회전문식 인사로 선정된 거수기 사외이사 문제에 대한 토론회 '금융지주회사의 지배구조 이대로 좋은가?'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가 전방위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금융당국이 간접적인 압박을 넘어 직접적으로 하나금융 회추위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노동조합과 시민단체에 이어 정치권까지 나서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연임을 비롯해 하나금융 지배구조를 문제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학영, 진선미, 제윤경, 김해영 국회의원은 15일 여의도 국회에서 '하나금융지주 사례로 본 금융지주회사의 지배구조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 주관했고 이진용 KEB하나은행 노조위원장과 인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이날 토론회는 '하나금융 지배구조에 문제가 있고 하나금융 회추위는 CEO(최고경영자) 리스크를 고려해 차기 회장을 선정해야 한다'로 흘러갔다. 권영국 민변 변호사는 "금융지주회장 CEO가 실정법 위반으로 처벌을 받으면 대표이사 자격을 발탁당할 수 있다"며 "하나금융 회추위는 CEO가 고발된 상황과 그에 따른 리스크를 회장 후보 선정 과정에서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국회의원들도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을 주문했다. 제 의원은 "새 정부 들어와서 다양한 적폐청산 과제가 추진되고 있다"며 "금융쪽에서는 지배구조 제자리 찾기가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 회추위를 압박하는 곳은 정치권만이 아니다. 금융당국도 직·간접적으로 하나금융 회추위를 압박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하나금융 회추위에 회장 선정 일정을 연기하라고 권고했다. '권고'였지만 유례가 없는 일이어서 금융권에서는 노골적인 인사 개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특정인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금융지주회사의 지배구조 개선을 주문하면서 하나금융을 겨냥한 발언을 잇따라 내놓았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연임의사가 있는 현직 회장은 회장 후보 관리부터 추천에 이르기까지 모든 절차에서 배제돼야 한다", "유효경쟁의 모습을 갖추라고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압박도 만만찮다. 참여연대는 지난 14일 논평을 내고 하나금융의 언론통제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김 회장 등에 대한 은행법 위반, 직권남용, 업무방해, 배임 등의 혐의와 관련해 사법당국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지난해 2월과 6월 각각 박영수 특검과 검찰에 김 회장과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을 고발했다. 이상화 인사비리 관련해 은행법 등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노동조합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하나금융 계열사 노조 등으로 구성된 하나금융지주 적폐청산 공동투쟁본부는 김 회장의 연임을 반대하면서 회추위 중단을 요구했다. 지난 12일에는 KEB하나은행 을지로 사옥 앞에 컨테이너를 설치하는 등 투쟁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하나금융 회추위는 좌면우고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과 노조 등의 회추위 중단 요구에 대해 일정 변경은 없음을 명확히 했다. 하나금융 회추위 관계자는 "예정된 회장 후보군의 의견진술 자리는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당국에 이어 정치권까지 압박하면서 회추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이미 하나금융 회추위는 15일과 16일로 예정된 후보군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하지만 22일 최종 후보자 결정까지 예정대로 진행할 지는 미지수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 압박이 더욱 거세지면 하나금융 회추위가 언제까지 버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학렬 기자 tootsi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