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폭등·폭락說 난무하는 중개업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100만가구 공급 및 대출규제, 다주택자 세금 중과로 아파트 매매가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매매계획 있으시면 연락주세요."

서울 성동구의 A아파트 입주민들은 최근 단지 내에 입점한 한 공인중개사무소로부터 이런 내용의 문자를 받았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부정적이니 늦기 전에 팔라는 뜻이다. 이 공인중개사무소는 서울의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올해 2분기 기준 13.5로 고점의 85% 수준까지 회복됐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하지만 문자를 받은 입주민들은 불편한 기색이다. 가뜩이나 정부에서 서울 집값을 잡겠다며 규제를 쏟아내는 시점에 본인들이 살고 있는 아파트의 미래가치를 부정적으로 예측한 셈이니 기분이 좋을 리 없다. 입주민들 사이에서는 "전망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 본인들이 입점해 있는 아파트 시세를 높이기 위해 홍보를 해줘도 부족할 판에 이런 문자를 보내냐"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인근에서 영업 중인 다른 공인중개사들에 따르면 이 공인중개사무소는 지난해 연말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고 6개월가량 지난 시점에 개업했다. 전세나 매매물량이 몰리는 시기를 놓친 데다 최근 정부 규제로 거래가 급감하자 불안감을 부추기며 매매를 유도해 일감을 찾으려는 고육지책으로 이 같은 문자를 발송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아파트는 2000가구가 넘는 대단지지만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매매거래는 4건에 그쳤다. 반면 거래절벽이라는 같은 현상을 두고 정반대의 논리도 펼쳐지고 있다. 내년 4월부터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에서 다주택자가 주택을 매도하면 양도소득세가 중과되기 때문에 매물이 씨가 마를 것이고 수요 대비 공급이 위축되면 가격은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논리, 이른바 '4월 폭등설'이다. 주로 집값이 비싼 강남권 공인중개사무소에서 손님들에게 '그나마 지금 사는 게 낫다'는 주장을 펼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4월 폭등설은 참여정부 시절 경험에 근거한다. 당시 정부에서 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잇달아 내놨고 공식적으로 집값 폭락을 예언했지만 결과적으로 집값은 더 올랐다. 당시 주택 매수를 저울질하던 많은 실수요자들은 다주택자들이 돈방석에 앉는 것을 보고 허탈함을 느꼈다. 잠실 A공인 관계자는 "다주택자들이 버티기에 들어가면 서울 집값은 오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