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핫이슈 가상화폐-(3)] "가상화폐, 규제대상 아닌 `블록체인`의 주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가상화폐에 투기수요가 몰리는 것과 관련해 대책회의를 소집하고 규제책에 대한 추가 발표를 예고했다. 이 가운데 과도한 규제는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현재의 가상화폐 가격이 '버블'이기보다 블록체인 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 IT업계 "블록체인, 4차산업혁명 선도할 것"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치솟는 가상화폐의 가치를 일종의 '튤립 버블'로 보는 금융권의 해석과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일종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하는 IT업계의 관점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워렌 버핏은 비트코인을 '버블'로 정의하고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는 비트코인을 '사기'라 강조했다. 반면 스티브 위즈니악 애플 공동창업자는 비트코인이 달러나 금보다 낫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같이 금융권과 IT업계의 시각이 엇갈리는 이유는 금융권은 비트코인의 가격과 실제 가치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반면 IT업계는 블록체인의 잠재적 가능성에 더 주목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이란 암호화폐를 만든 기술로 거래 정보를 기록한 일종의 장부다. 즉 당사자간 거래 정보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공동 보관되는 일종의 분산원장 기술이다. 모든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다보니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위조가 불가능해 이를 통한다면 신뢰를 담보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영역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을 연결·분산할 수 있다는 게 IT업계의 설명이다.

블록체인은 실제로 국내에서도 도입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현재 금융투자협회 및 26개 증권사가 블록체인 금융권 도입을 위한 컨소시엄을 발족했다. 증권사 간 인증 공동 플랫폼을 구축하고 공인인증서를 보완하기 위해서다. 해수부 역시 관세청 및 11개 물류·해운·블록체인 관련 기업이 참여해 컨소시엄을 꾸렸다. 수출입 물동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을 물류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하기 위해서다.

가상화폐 거래소와 선긋기에 나섰던 은행들조차 블록체인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한·우리·KB국민·KEB하나은행 등은 글로벌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CEV 컨소시엄에서 영국 바클레이스, 미국 US뱅크, 홍콩 HSBC 등 글로벌 은행 18곳과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국제 자금이체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韓블록체인 리더들 "가상화폐 '투기'로만 볼 수 없어"

한국의 블록체인 산업의 리더들 역시 가상화폐의 거래소 가격 그 자체보다는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진화 한국블록체인협회 준비단 대표는 P2P금융기업 렌딧이 주최한 '2018 핀테크를 내다보다' 세미나 주제발표를 통해 "새 기술에 대한 투자는 투기와 구별하기 어렵다"며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비트코인에 투자수요가 몰린 것 외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진화하면서 자연스레 비트코인의 가치가 올랐다고 주장한다. 그는 "비트코인은 총 발행량을 맞추기 위해 매 4년마다 보상이 반감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데 두번째 반감이 지난해 여름 일어났다"며 "지난해 8월까지 25BTC였던 것이 12.5BTC로 반감되면서 채굴이 어려워지고 비트코인 가격이 자연스레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그 가격이 버블인지 아닌지는 지나고서야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이어 가상화폐와 실물화폐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가상화폐는 실물화폐와 다르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내고 커피를 사고 음식을 사는 세상은 오기 어렵다"면서도 "다만 자본시장에서 새로운 흐름이 형성될 때 가상화폐로 계약을 체결하고 블록체인에 이를 기록하는 형태는 개연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즉 블록체인이 자본의 유동화 문제를 해결한다면 지불수단으로 '가상화폐'가 부각될 수 있다는 얘기다. 예컨대 현재의 주식시장은 거래소를 만드는데 고비용의 구조를 갖추고 있어 채권과 실물 등을 유동화할 수 없는 구조다. 하지만 블록체인 등을 통해 거래 시스템을 만들면 이같은 자산도 유동화가 가능하다는 논리다.

가상화폐 거래소들 역시 한국이 일방적인 규제책을 내세우기 보다는 블록체인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가상화폐에 대한 영향력을 키워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익환 가상화폐거래소 코인네스트 대표는 '인사이드 핀테크 컨퍼런스'에서 "중국은 마이닝 산업을 일종의 경쟁력으로 간주하고 지원한 결과 80%이상을 주도하고 있으며 관련 백서도 발간했다"며 "한국 또한 백서를 발간하는 등 거래소의 역할을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거래소들은 많은 역할과 의무를 갖고 있지만 국내 국외 거래소들은 역할에 대해서 충분히 하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묻지마 투자'를 지양하고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미래에 대해 분석하는 흐름이 형성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같은 맥락에서 미성년자에 대한 정부의 투자 금지 조치 등에 대해서는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