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文대통령, 訪中앞두고 사드문제 해법으로 '역지사지' 강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 국영 방송사인 CCTV와의 인터뷰는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요약된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중국이 바꾸어 생각해봐야 하며, 한국 역시 중국의 우려를 이해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 CCTV 측이 11일(현지시간) 밤 내보낸 인터뷰에서 질문 8개 중 3개는 사드와 관련된 것이었다.

문 대통령은 '역지사지'를 내세웠다. 양국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면서 "단숨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시간을 두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답변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국내 배치된 사드가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훼손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방위 목적으로 사드를 도입한 것이지, 결코 중국의 안보적 이익을 해칠 의도가 없다"면서 "중국이 사드 레이더의 성능 때문에 중국의 안보이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고 염려하는 것에 대해 우리도 역지사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사드가 북한 핵과 미사일에 대한 방어 목적을 넘어서서 중국의 안보적 이익을 침해하는 일이 없도록 한국은 각별히 유의할 것"이라며 "그 점에 대해서는 미국으로부터도 여러 번 다짐을 받은 바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답변은 북한 전역뿐 아니라 중국 본토도 탐지할 수 있는 사드 레이더의 성능이 중국의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중국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을 내비치면서도 중국을 겨냥해 어떤 형태의 안보적 위해가 없을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중국의 우려를 불식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사드를 도입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도 강조했다. "한국으로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한 거듭된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도입을 결정하게 됐다"며 "북한이 미사일 능력을 굉장히 빠르게 고도화하고 있는데 한국은 북한의 미사일, 특히 고고도 미사일에 대해 자체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다"고 했다.

이날 인터뷰에서도 CCTV는 '3불'의 단계적 이행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구체적인 입장을 물었다.

이에 문 대통령은 "한국은 이미 사드에 관한 한국의 입장을 밝힌 바 있으며 그것은 결코 새로운 입장이 아니다. 과거부터 한국이 지켜온 입장을 말한 것"이라며 "그런 입장에 대해 서로 깊은 이해를 이룬 것이 10월 31일 자 양국 간 협의였다"고 답했다.

이날 인터뷰는 지난 8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이뤄졌으며, 이날 CCTV-13 채널의 '환구시선(Global Watch)' 프로에서 처음 방송됐다. CCTV측은 12일 오전·오후 정규 뉴스 등에서도 문 대통령의 인터뷰를 보도할 예정이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