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눈사람은 안 무섭고 친근해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능 과시보다 교감 구현 역점
가장 친근한 로봇 모습은 사람”
‘2017 우수 디자인’ 대통령상
가정용 로봇 디자인해 보고파


“눈사람은 안 무섭고 친근하잖아요.”

인천국제공항의 ‘유명인사’인 청소로봇을 디자인한 김성민(44) LG전자 생활가전(H&A) 디자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11일 “로봇이라는 기능을 과시하기보다 사람과 교감하는 로봇을 구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첨단기술에 대한 일반인의 막연한 거부감과 두려움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다 보니 어렸을 때부터 친숙한 눈사람을 착안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청소로봇은 국내 기술로 상용화한 첫 지능형 로봇이다. 김 연구원에게 상복을 안겨다 준 효자이기도 하다.
서울신문

김성민 LG전자 책임연구원이 인천국제공항에서 자신이 디자인한 청소로봇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LG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말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17 우수 디자인’ 심사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로봇 디자인에서 대통령상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앞서 9월에는 세계적인 디자인 공모전 ‘IDEA’(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에서 은상도 받았다.

국내외 로봇박람회, 피규어 매장, 프라모델 매장 등을 무던히도 쫓아다녔다는 김 연구원은 “결국 가장 친근한 로봇의 모습은 사람이었다”고 털어놓았다. “아이들이 맨 처음 사람을 그릴 때 눈사람을 그리는 것을 보고 가장 단순하고 친근한 사람의 형상이 눈사람이라고 확신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공항에서 청소를 하는 로봇인 만큼 ‘안전’도 고려해야 했다. 부피나 키가 너무 크면 사람과 충돌 위험이 높다. 그렇다고 너무 작으면 사람의 시야에서 벗어나 충돌 위험이 또 크다. 고심 끝에 아담하면서도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4~5살 어린이 키(1m) 정도로 로봇 크기를 정했다고 김 연구원은 말했다.

그는 로봇의 경우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에어컨, 냉장고 등 정적으로 서 있는 가전제품의 디자인과 크게 다르다고 했다. “눈사람이 모두 원형이어서 충돌 위험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전면과 후면 라이트로 이동 방향을 알리고 ‘비켜 주세요’ 등 상황별 음성 멘트도 넣었습니다. 식별이 잘되게 로봇의 표면을 흰색과 검은색으로 칠했죠. 로봇이 넘어지면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어 (잘 넘어지지 않도록) 상단보다 하단을 좀더 크게 만들었습니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 집안일을 돕는 가정용 로봇을 디자인해 보고 싶다고도 했다. “상업용 로봇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를 위한 가정용 로봇도 점차 다양해질 겁니다. 인간과 교감하는 로봇 도우미가 가사노동을 덜어 주는 미래를 그려 봅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