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YS 2주기]①'거산'이 남긴 것은 무엇인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5년 11월22일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정치적 아들'들의 엇갈린 행보

아시아경제

거산 김영삼(YS) 전 대통령 서거 2주기를 맞아 그가 우리 역사에 남긴 정치적 유산에 대해서도 다시금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이 남긴 유훈 '화해와 통합'은 서거 후 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평가된다. 다만 2년 전 '정치적 아들'을 자처했던 인사들은 현재 전혀 다른 위치에서 YS의 2주기를 맞고 있다.

◆서거 이후 이뤄진 재평가 = 22일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지 2년이 되는 날이다. 그는 2015년 11월22일 서거했다. 그는 서거 후 활발하게 재평가가 이뤄진 대통령이었다. 생전에는 1990년 3당 합당이나 대통령 임기 말의 외환위기 등을 이유로 업적에 대한 조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서거를 계기로 오랜 세월 독재에 항거해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촉진시킨 점과 대통령이 된 뒤 금융실명제 실시, 하나회 척결, 5.18 책임자 처벌 등의 적극적인 개혁 정책을 추진한 것에 대해서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던 것이다.

특히 YS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민주주의를 이끌고 민주화운동을 주도해온 중심인물로 우리 정치사에 기록돼 있다.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독재에 맞서는 저항의 중심에는 늘 YS가 있었다. 1979년 신민당 총재 시절 국회의원에서 제명된 사건은 부마민중항쟁, 10·26 사태로 이어지는 박정희 정권 종말의 도화선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금융실명제와 부동산 실명거래 등 경제개혁 정책을 폈고 대외적으로는 적극적 시장개방을 시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는 성과도 이뤄냈다. 이 가운데 YS의 가장 대표적인 치적으로 여겨지고 있는 금융실명제는 취임 첫해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 16'호 발동을 통해 전격 시행됐다. 그는 당시 "금융실명제를 실시하지 않고는 이 땅의 부정부패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없고, 정치와 경제의 검은 유착을 근원적으로 단절할 수 없다"고 했다. 이는 각종 비리·부패 사건의 원인이라는 지적을 받던 가명과 차명을 쓴 금융거래를 막기 위한 YS의 결단이었다.

◆'정치적 아들' 자처한 이들의 엇갈린 행보 = 오랜 세월 민주화 투쟁과 집권 후 개혁 정책 등 공적을 중심으로 YS를 평가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자 그 유산을 계승하겠다는 움직임도 여기저기서 있었다. 2년 전 상주를 자처하며 YS의 장례식장을 지킨 김무성 의원, 서청원 의원, 손학규 고문 등이 대표적이었다. 당시에는 김 의원은 새누리당 대표, 서 의원은 새누리당 최고위원, 손 고문은 정계를 은퇴한 상태였다.

YS가 남긴 뜻을 이어가겠다고 했던 이 세 사람은 공교롭게도 2년이 지난 뒤 모두 전혀 다른, 사실상 정반대의 정치적 지형 위에 서있다. 김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바른정당으로 떠났다가 최근 다시 새누리당에서 이름을 바꾼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했다. 반면 대표적인 '친박'으로 분류되는 서 의원은 자유한국당에서 출당 위기에 몰려 있다. 정계에 복귀한 손 고문은 민주당을 떠나 국민의당에서 대권을 꿈꿨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고 현재 상임고문으로 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