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中스마트폰 OLED 영토화.. 디스플레이의 경쟁구도! 그 결과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를 장착한 중국 스마트폰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플렉시블 OLED 양산을 시작했으나 수요가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고 개선되기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지위는 꾸준히 유지될 전망이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인 원플러스, 지오니는 최근에 출시한 스마트폰에 삼성디스플레이 OLED를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업체가 LTPS LCD 진영이 가격을 무기로 적극적인 공세를 펴고 있는 상황에서 플래그십 모델에 OLED를 채용한 것은 의미가 남다르다. 플렉시블 OLED는 차치하고서라도 리지드 OLED와 LTPS LCD는 어쩔 수 없이 혈투를 벌여야 하는 상황이다. 물량은 늘어났으나 이를 소화할 시장이 쪼그라든 것도 LTPS LCD 진영의 골칫거리다. 애플은 아이폰X를 통해 OLED로 넘어갔고 내년에 신제품 한 종을 더 추가할 계획이다. LG전자도 V30으로 OLED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 과정에서 OLED 진영, 특히 이 시장의 절대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도 간접적인 피해를 받고 있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 실적발표에서 리지드 OLED 판매 감소로 인해 실적이 둔화됐다고 한다. 업계에서는 LTPS LCD 진영이 최대한 생산량을 빡빡하게 가져가면서 공급량 조절을 통해 OLED와 경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최근 장세에 맞는 종목 맞춤 추천
- 당일 수급이 가장 강한 종목 발굴
- 직장인, 주부 등 초보 투자자를 위한 세심한 문자 리딩
- 매수와 매도 모두 문자 발송
이데일리

☎ 문의전화 (고객센터) : 1588-1071 (24시간 연중무휴)

[불TV 관심종목]
큐캐피탈(016600), 신성통상(005390), 썸에이지(208640), 스포츠서울(039670), 에스마크(030270)

[본 글은 투자 참고용으로, 이데일리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