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종합]캐나다와 통화스와프…'외환 방어막' 효과 얼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한-캐나다 통화스와프 관련 브리핑


"위기시 외환 안전판 확보…대외 신인도 개선"

경제·금융교류 확산으로 파급효과 클 듯
이주열 "한·미 통화스와프 이후 가장 의미"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우리나라가 사실상 6대 기축통화국 중 하나로 분류되는 캐나다와 통화스와프를 전격 체결하면서 외환 위기시 실질적인 '방어막'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나아가 우리 경제의 대외 신인도 개선과 양국간 경제·금융 교류 확산으로 경제적으로도 다양한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은행(이주열 총재)과 캐나다중앙은행(스티븐 폴로즈 총재)은 현지시간 15일 캐나다 오타와에 위치한 캐나다 중앙은행에서 원화-캐나다 달러화간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했다.

이번 협정은 주요 선진국과 맺은 계약이라 의미가 깊다. 캐나다가 미국, 유로존, 일본, 영국, 스위스와 함께 6대 주요 기축통화국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어서다. 캐나다 달러화 자체는 기축통화는 아니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미 달러화,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에 이어 다섯번째로 국제결제 비중이 높은 통화로 기축통화 구실을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중국과 호주 등 4개 국가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 등을 포함해 1168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맺고 있지만, 체결 국가 중 기축통화국은 없는 상황이다. 기존에 맺은 통화스와프의 경우 '경제·금융 교류' 차원으로서의 의미가 더 큰 것도 사실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외환 위기가 발생했을 때 통화스와프 체결 국가에서 통화를 빌려오더라도 국제 금융시장에서 직접적인 이용이 어려워 외환 방어막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우려가 제기돼왔다.

과거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 등 기축통화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계약이 모두 종료된 상황이다. 300억 달러 규모였던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는 지난 2010년 종료됐고, 일본과 맺은 1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도 지난 2015년 재계약없이 끝났다. 이후에도 이들 국가와의 재협상의 기미는 보이질 않고 있다.

하지만 이번 협정으로 우리나라는 위기시 금융시장에서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기축통화를 확보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특히 캐나다가 기축통화국들과 한도와 기한이 없는 통화스와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는 간접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번 협정은 2008년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이후 가장 의미있는 계약"이라며 "캐나다 달러화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결제 통화로 아무 위험없이 거래되는 통화로 명실상부한 기축통화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도 "이번 통화스와프는 양국간 최고 수준의 금융협력"이라며 "위기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외환 부문의 안전판을 확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계약이 한도와 기한이 없는 '상설계약' 형태로 이뤄진 점도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는 부분이다. 한마디로 외환 위기 발생으로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상대국의 통화를 무제한으로 빌릴 수 있다는 얘기다. 상설계약은 주로 기축통화국이 맺는 방식으로 우리나라의 통화스와프 협정에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만기를 앞두고 재협상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정치적 갈등 등으로 계약이 좌우되는 우려도 적어진다. 지난 10월 연장된 560억 달러 규모의 한·중 통화스와프도 재협상 과정에서 '사드 갈등' 등으로 난관이 적지 않았다.

김민호 한은 국제담당 부총재보는 "6개 주요 선진국들은 한도와 기한없는 형태로 계약을 맺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한도와 기한이 없는 계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우리나라의 위기 발생시 외환 부문의 강력한 안전판이 확보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캐나다가 기축통화국을 제외하고 상설계약으로 통화스와프를 맺은 국가는 중국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번째인 만큼 대외 신인도 개선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이 총재는 "캐나다가 한국 경제가 건전하고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해 준 셈"이라고 설명했다.

양국간 무역·금융교류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통화스와프 자체가 '경제 협력'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강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양국간 교역규모는 88억3000만 달러에 달한다. 앞서 한·캐나다는 지난 2015년 1월 자유무역협(FTA)를 체결한 바 있다.

한은은 "한국과 캐나다 간 최고 수준의 금융협력으로 앞으로 양국간 긴밀한 경제·금융 협력 관계가 더욱 견고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hach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