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수능 1주일 연기'…"최악의 상황은 피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발표 직전까지 '수능 연기' 고심…순방 마치고 온 대통령 '안전'에 방점]

머니투데이


교육부가 16일로 예정됐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1주일 연기키로 한 것은 지진에 따른 '수험생 안전'과 최악의 상황을 피해야 한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정부 부처 관계자들은 지난 15일 오후 3시30부터 7시쯤까지 지진에 따른 수능 실시 여부를 놓고 논의를 벌였다. 이 때까지만해도 '수능 강행' 기류가 강했다.

실제로 교육부는 지진 발생 이후 수능을 애초 예정대로 실시할 것이라는 방침을 거듭 확인했다. 그러나 포항지역에서 차츰 피해 상황이 올라오고, 오후 7시 이후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문재인 대통령 보고에 들어가면서 '수능 연기'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 여진 발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수능을 강행했다가는 자칫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힘을 받았기 때문이다. 보고를 받은 문 대통령도 '안전'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곤 교육장관이 15일 기자회견에서 "학생 안전이 중요하다는 점과 시험 시행의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능을 일주일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힌 점도 같은 맥락이다. 애초 예정대로 수능 시험이 치러진다고 해도 기대했던 성적을 못받은 피해지역 학생들이 형평성을 문제삼아 소송을 제기할 경우 또 다른 논란으로 번질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대학진학에 영향이 큰 수능시험을 앞두고 불과 12시간 전에 연기한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피해지역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심정도 이해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교육부·교육청 지진 메뉴얼'에 따라 수능을 치렀어야 한다는 얘기다. 전일 밤 9시쯤 전국 시험지구에 배송되려다 중단된 시험지 보안 문제도 비상이다.

김 장관은 "수험생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내린 힘든 결정임을 이해해 달라"며 "수험생은 정부를 믿고 일주일 동안 컨디션 조절을 잘 해 안정적인 수능 준비를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세종=문영재 기자 jw0404sh@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