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일부 시험장 균열 생겨 안전 우려… 포항 학생 귀가 못한 상황도 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능 전격 연기 결정 왜?

김부겸 장관 등 포항 찾아 점검

수능 치를 환경 안 된다 판단

문 대통령 현장 보고 받고 연기 결정
한국일보

15일 오후 대구시 동구 봉무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운동장으로 대피해 있다. 대구=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6일 예정됐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23일로 일주일 연기된 이유는 경북 포항 지진으로 시험장 건물은 물론 예비 시험장에도 일부 균열이 발생하는 등 안전상 문제가 크다고 판단됐기 때문이다. 여진으로 인해 포항 지역 학생ㆍ시민들이 귀가를 못하는 상황 등도 감안됐다.

정부는 15일 오후까지만 해도 수능을 그대로 치른다는 입장에 기울어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수석ㆍ보좌관회의 때도 수능 강행 입장이 많았으나, 문 대통령은 “책임자들이 현장을 내려가서 상황을 파악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7박 8일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자 마자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이에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포항 현지를 찾았고, 학교 피해가 커 수능 치를 환경이 안 된다고 판단하면서 급박하게 상황이 바뀌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부겸 장관과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이 협의를 거쳐 대통령에 보고했고, 청와대도 이 같은 판단을 하면서 연기가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경상북도교육청도 별도로 현장 상황을 판단해 교육부에 연기를 요청했다.

이날 교육부가 포항 지역 시험장 14개 학교에 대한 전수 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10개 학교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 포항고는 체육관 뒤편 돌이 떨어지고 1층 기둥에 금이 갔고, 포항여고는 교실 벽 칠판 뒤편에 균열이 생겼다. 포항중앙고의 경우에는 운동장 곳곳에 금이 간 것으로 조사됐다. 방충망이 떨어지거나 화장실 타일이 파손되는 등 상대적으로 피해 규모가 작은 시험장도 있지만, 정부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이날 오후 9시 현재 이들 학교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특히 여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포항 지역 학생ㆍ시민이 귀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수능 시험 연기는 불가피 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지진 발생 직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포항 지역 초ㆍ중ㆍ고교, 대학 건물의 피해 상황이 담긴 게시물들이 잇따라 게재됐다. 한동대에서는 건물 외벽이 무너져 내려 학생들이 긴급히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선린대 기숙사 천장과 포항고 인근의 한 학원 담장이 무너졌고 포항 중앙초에서는 운동장이 갈라지기도 했다.

교육부는 포항 지역 시험장인 고교 외에도 포항 모든 학교의 안전을 위해 이 지역 초교 66곳과 중학교 36곳 등도 17일까지 휴교령을 내렸다. 다른 지역의 시험장은 예정대로 16일 휴교하거나, 등교 시간이 1시간 늦춰져 오전 10시 등교 예정이던 학교 등교 시간은 늦춰진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교육청마다 세부 지침은 다르지만,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16일 고1, 2학년이 휴교 예정이었을 경우 고3 및 교사도 학교에 나오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고1, 2학년이 등교 예정이었으면 고3 및 교사도 등교 및 출근해야 한다. 교육부는 각 학교와 학생에 공문ㆍ문자 등으로 추후 일정을 통지할 예정이다.

신지후 기자 hoo@hankookilbo.com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