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레이건함 NLL 92㎞ 앞까지 북상 … 항모 3개 전단 이동에만 하루 750만 달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해 훈련 중인 항모 직접 타보니

2분에 1대꼴 항공기 이착륙 반복

통제사가 모형 옮기며 ‘교통정리’

항모 3척 평소엔 안전상 거리 유지

같이 작전해도 육안으론 안 보여

중앙일보

미국 핵항모 로널드 레이건함 통제사가 지난 13일 갑판과 항공기 등을 축소해 놓은 ‘위저보드’ 앞에서 이착륙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갑판에서는 1분 간격으로 전투기 출격이 가능하다. [사진 국방부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초간 굉음이 이어졌다. 미 해군의 핵심 전투기인 F/A-18 ‘수퍼호넷’이 순식간에 하늘로 솟구쳤다. 노란색 조끼를 입은 승조원이 손을 높이 올리자 전투기가 100여m를 질주해 갑판을 이탈한 것이다.

통상 육상의 활주로는 2~3㎞ 정도다. 갑판에서의 급격한 이착륙을 위해 캐터펄트와 어레스팅 와이어(arresting wire)라는 특수 장치가 깔렸다. 캐터펄트는 원자로에서 나오는 증기를 이용해 비행기가 힘차게 이륙하는 것을 돕는다. 어레스팅 와이어는 바닥에 설치된 쇠줄로 착륙하는 항공기의 고리를 걸어 짧은 거리에서 멈출 수 있도록 돕는다.

축구장 3개 넓이(길이 333m, 폭 77m, 높이 63m)의 갑판에서 20여 분간 머무는 동안 수퍼호넷 전투기 9대, 그라울러 전자전기 2대 등 총 11대의 항공기가 이착륙을 반복했다. 2분에 1대 이상 꼴이었다. 전투기가 이륙할 때는 엔진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기와 바람 때문에 몸을 제대로 가누기도 힘들었다. 노란색·초록색·흰색·빨간색·검은색 등 각기 다른 조끼를 입은 승조원들이 항공기 이착륙 업무에 관여하느라 갑판은 북새통 그 자체였다. 그 사이로 비행 갑판에 있는 MH-60R 해상작전헬기, 적의 레이더를 교란시키는 전자전기 그라울러(EA-18G), 공중조기경보기 호크아이(E-2C) 등이 눈에 들어왔다.

지난 13일 로널드 레이건함(CVN-76)이 훈련 상황을 우리 언론에 공개했다. 레이건함은 시어도어 루스벨트함(CVN-71), 니미츠함(CVN-68) 등과 함께 11일부터 14일까지 한반도 해역에서 한·미 연합훈련을 하고 있다. 미 항모 3척의 한반도 해역 연합훈련은 최초다.

레이건함엔 보통 70여 대의 항공기가 탑재된다. 이번엔 67대라고 한다. 비행기 전용 엘리베이터도 4대가 설치돼 있다.

갑판 상황은 혼란 자체로 보였지만 실제론 비행 갑판 통제소에 의해 ‘완벽하게 통제’되고 있었다. 통제소 안에선 가장 먼저 레이건함 갑판과 항공기를 축소해 놓은 위저보드(Ouija Board)가 눈에 들어왔다. 통제사가 비행기 모형을 데크 위에 올려놓고 장기판의 장기를 움직여 가듯, 어지러운 갑판과 비교하며 상황을 통제했다. 테런스 플러노이 소령은 “항모 갑판은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곳 중 하나”라며 “갑판에서는 매일매일 특별한 도전의 연속”이라고 말했다.

이날 레이건함은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 울릉도 동북방 동해상에서 훈련을 했다. 미군 관계자들은 공식적으로는 항모 위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NLL에서 남쪽으로 92㎞, 울릉도 동북방 92㎞ 해상으로 나타났다.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이 동해 NLL 근방까지 북상한 게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레이건함은 일본 요코스카(橫須賀)에 배치된 제5항모강습단의 기함이다. 20년간 연료 재공급이 필요 없는 2기의 원자로를 이용한 4개의 증기엔진으로 기동하며 최대 속력은 30노트(시속 55㎞) 이상이다. 레이건함이 소속된 제5항모강습단 전체를 지휘하는 마크 돌턴 준장과 인터뷰를 했다.



Q : 항모 3척이 훈련한다는 의의는.



A : “항모 3척이 연합작전을 하게 되면 매우 유연하면서도 엄청난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다. 결국 정책결정자들에게 많은 옵션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런 공동훈련을 하려 한다. ”




Q : 시나리오대로 훈련하는 건가.



A : “그런 건 없다. 미리 계획된 게(훈련) 아니다. 이번에 3개의 항공부대, 각 강습단의 함정들이 바다와 영공에서 어떻게 조율하며 서로 방해하지 않고 작전할 수 있는지 연습할 수 있다 .”




Q : 다른 2척의 항모는 안 보인다.



A : “ 항공기 70대를 운용하려면 꽤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또 전투력을 넓은 지역에 분산하고자 한다. 그래서 같이 작전해도 다른 항모가 육안으론 보이지 않는다.”




Q : 중국·러시아가 이런 대규모 연합훈련 중단을 요청하는데.



A : “이런 훈련을 하지 않으면 미국은 물론 동맹국의 방어 능력이 저하된다. 이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지키는 데 있어 영향력도 줄어들 것이다.”


항모 전단을 움직이려면 하루 250만 달러(약 28억원)가 든다. 항모 3척이 모인 사진을 찍으려면 최소 750만 달러란 의미다. 국방 전문가는 “항모 3척이 한 프레임에 담긴 사진 1장은 북한에 심리전 효과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밝힌 군사옵션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철재 기자, 국방부 공동취재단 seajay@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