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문 대통령 “북핵 이른 시일 내 완전 폐기 쉽지 않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늘 귀국 앞두고 필리핀서 간담회

“핵동결·폐기 위한 대화 들어가면

한·미, 북에 뭘 해줄지 협의 가능”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논란엔

“트럼프와 회동 때 처음 듣는 제안

취지 정확히 몰라 입장 표명 유보”

중앙일보

필리핀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현지시간) 마닐라 국제컨벤션센터(PICC)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 앞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응우옌쑤언푹 베트남 총리, 문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리커창 중국 총리. [김상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북핵 문제와 관련, “대화에 들어간다면 모든 방안을 열어놓고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남아시아 순방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프레스센터에서 “북핵 폐기를 위한 단계적 보상 조치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북핵을 동결하고 완전한 폐기로 나아가는 식의 협의가 되면 그에 상응해 우리와 미국과 국제사회가 북한에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문 대통령이 천명해온 ‘동결→폐기’라는 2단계 북핵 해법에 따라 단계별로 북한에 상응하는 보상 조치를 미국 등과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특히 “단계별 보상에 한·미 군사훈련 중단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그런 구체적인 방안을 묻는 것은 우물가에서 숭늉을 찾는 격”이라며 “우선은 대화 여건이 조성되어야 대화 국면으로 넘어갈 수 있는데 북한 핵·미사일 고도화 상황에 비춰보면 이른 시일 내에 단숨에 완전한 폐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단계에서 동결하면 무엇이 조건이라는 말을 할 상황은 아니며 지금은 북한을 대화의 길로 이끌기 위해 북한을 제재·압박하는 강도를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 이후 논란을 낳았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인도·태평양 협력은 지난번(7일) 회동 때 처음 듣는 제안이었다”며 “한·미 동맹을 인도·태평양 협력의 어떤 축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기 때문에 그 취지를 처음 듣는 우리로서는 정확하게 알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입장 표명은 유보하고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앞으로 듣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후 청와대 관계자들이 “(인도·태평양 라인에) 편입되지 않는다”고 공개 발언한 데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평창 겨울올림픽에 북한이 참여할지에 대해선 “비관도 낙관도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전례를 보면 북한은 늘 마지막 순간에 그런 결정을 했다”며 “북한이 실제로 참가할지는 좀 더 대회가 임박해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참가하면 평창 올림픽은 단순한 올림픽 차원을 넘어 남북 간의 평화와 또 나아가 동북아 평화에 기여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과 관련해 “아세안과의 관계를 대폭 강화하기 위한 신남방정책을 천명했고 그에 대한 아세안 각국의 공감과 지지를 얻었다”며 “또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와의 연쇄 회담을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 러시아도 북핵 문제 불용이라는 우리의 입장에 대해 완전하게 지지해 줬고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에 대한 철저한 이행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제20차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해 “20년 전 아시아 외환위기를 극복한 연대의 힘으로 평화·번영·발전의 동아시아 공동체 비전을 만들어 내자”며 아세안과 한·중·일이 참여하는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을 제안했다. 연이어 열린 제12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는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강조했다. EAS는 미국과 러시아 등이 참여하는 역내 최상위 전략포럼이다. 이 밖에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와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해 실질 협력 방안과 북핵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필리핀 교민과의 동포간담회를 끝으로 7박8일간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으로 이어진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15일 귀국한다.

마닐라=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