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IS의 마지막 도시 점령지를 놓고 치열한 교전이 벌어지고 있지만 IS는 자칭 수도였던 시리아 락까와 경제 중심지였던 이라크 모술을 잃는 과정에서 전력이 크게 약화됐다. 사실상 ‘포스트 IS 시대’가 개막됐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중동은 다시 위험한 화약고가 되어가고 있다. 중동의 핵심 세력이며 지역패권·영토·종교 등을 놓고 서로가 주적 관계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간의 갈등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수, 자원 보유 규모, 군사력 등에서 월등한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아랍의 대표 주자 사우디가 아랍권의 ‘공통의 적’ 이스라엘과 사실상 협력에 나서는 움직임도 나타난다. 이란은 IS 퇴치 과정에서 시리아, 이라크, 예멘 등 주변국들에 파격적인 군사, 자금 지원을 하며 ‘작은 이란’ 만들기에 공을 들이고 있다.
○ 레바논·이라크 등서 부딪치는 사우디와 이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가장 부각되는 건 각각 이슬람 수니파와 시아파 맹주인 사우디와 이란의 갈등이다. 두 나라는 아직 군사적으로 직접 충돌하진 않았다. 그러나 레바논과 예멘을 시작으로 이라크와 사우디 동부같이 종파 혹은 지리적으로 ‘중간 지대’에서 지속적으로 충돌할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레바논이 뜨겁다. 4일 사우디는 자국과 교전 중이며 이란이 지원하고 있는 예멘 후티 반군이 이란산 미사일을 수도 리야드의 국제공항에 발사했다고 주장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친(親)사우디파이며 사우디 이중 국적자이기도 한 사드 하리리 레바논 전 총리가 4일 사우디 방문 중 갑작스럽게 사퇴를 발표한 배경에도 이란과의 갈등이 있다. 하리리는 이란의 간섭과 이란이 지원하는 헤즈볼라(레바논을 중심으로 활동 중인 시아파 무장단체)의 암살 위협을 사퇴 이유로 꼽았다. 일각에선 이란과 헤즈볼라의 영향력이 레바논에서 계속 커지자 사우디가 하리리를 물러나게 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실제로 사우디는 하리리 사퇴 뒤에도 노골적으로 헤즈볼라와 이란을 비판하고 자국민의 레바논 탈출을 지시하는 등 긴장을 키우고 있다. AFP통신에 따르면 사우디는 10일 예멘 후티 반군이 장악한 수도 사나에 있는 국방부에 전투기들을 동원해 두 차례 공습을 진행하는 등 강경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우디와 이란 사이에 위치해 있어 두 나라가 동시에 ‘자기편’ 만들기 작업을 진행 중인 이라크와 시아파 인구 비율이 높은 사우디 동부 지역에서도 갈등이 벌어질 수 있다. 특히 사우디 동부 지역은 이 나라의 유전과 담수화 시설이 집중돼 있는 곳이다. 동시에 시아파들의 반정부 정서도 강하다. 이란으로선 사우디 동부의 시아파들이 사우디의 돈줄(원유)과 생명줄(물)을 동시에 흔들 수 있는 카드인 것이다. 해외의 한 사우디 전문가는 “이란은 사우디와 갈등이 커질수록 사우디 동부 지역 민심 흔들기를 시도할 것”이라며 “이 경우 원유와 물 확보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사우디는 민감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시리아, 헤즈볼라와 충돌 가능성 커진 이스라엘
사우디가 이스라엘을 이용해 군사적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미 두 나라는 최고위급 인사들 간 비밀 회동과 정보 교환을 공공연히 늘리고 있다. 국경을 헤즈볼라 통제 지역과 맞대고 있어 이들을 피부에 와 닿는 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이스라엘이 적극적으로 헤즈볼라 공격 또는 견제에 나설 수 있다. 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은 2006년에 전쟁을 치른 경험도 있다.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연구센터장은 “헤즈볼라는 이란의 지원 아래 그동안 군사적, 정치적 역량이 커져 이스라엘로서는 큰 부담”이라며 “이스라엘은 언제든 강한 대응을 고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 카이로=박민우 특파원 / 김수연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