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선 산업부 기자 |
12일 국내 유통·소비재 기업이 일제히 낸 중국 광군제(독신자의 날) 실적 자료를 보면 그렇다. 온라인 쇼핑몰 기획 쇼핑 행사에서 하루 28조원을 너끈히 지출할 수 있는 구매력을 가진 나라. 그런 ‘무시무시한’ 이웃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로 빚어진 갈등을 해소해 천만다행이라는 기쁨이 여기저기 읽혔다.
정말 다행이긴 하다. 한류를 타고 승승장구하다 난데없이 된서리를 맞은 기업은 더욱 반색할 수밖에 없다. 재화보다 감성을 팔고 사는 패션이나 화장품, 관광 관련 기업에 사드 사태는 치명타를 안겼다. 거대한 기회의 땅으로 보였던 중국이 기업의 명운을 뒤집을 덫이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던 차였다. 광군제 호실적은 기대보다 빠른 속도로 사드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신호다.
기업의 환호에 앞서 시장도 반색했다. 한·중 정상회담 소식에 주요 소비재 기업의 시가총액은 일제히 상승했다. 추락하던 관광업계는 중국인 여행객의 귀환을 시간 문제로 보고 있다. 그런데 이제 끝난 것일까. 정말 불행 끝 행복 시작을 기대해도 될까.
[일러스트=박용석]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업들은 이번 갈등을 ‘탈중국’ 해법을 찾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다행히 기업들은 시장 다변화를 해법의 뼈대로 놓고 다양한 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젠 중국에 모든 것을 걸지 않겠다는 다짐일 것이다.
또 하나의 대안이라면 시류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1994년 중국 상하이 지사를 낸 이랜드는 수십 년간 조금씩 중국 사업을 키워 왔다. 현재 이 업체의 패션 부문 매출의 절반은 중국에서 발생한다.
중국이 이랜드를 한국 기업으로 인식하지 않을 정도로 오랜 신뢰를 쌓아 왔다. 덕분에 사드 갈등 여파도 피해 갔다. 기업의 해외 진출은 하루 장사가 아닌 장기전이라는 교훈이 남는다. 지금은 지나치게 기뻐할 때도, 지나치게 절망할 때도 아니다.
전영선 산업부 기자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