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철우 의원, "최근 5년간 지방이전기업 지원금, 지역별 편차극심 ‘충청권’에 984억 원 편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뉴스

이철우 의원(자유한국당/김천)


이철우 의원(자유한국당/김천) (경북=국제뉴스) 이기만 기자 = 2012년 이후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에 '충청권' 쏠림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 국내유턴기업 지원 실적은 38개 기업, 180억원에 그쳤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자유한국당 이철우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 19조에 따라 지방의 기업투자 촉진을 위해 2012년 이후 총 6,306억원의 지방투자 촉진 지원 보조금이 지급됐다.

종류별로는 193개 지방 이전기업에 1,811억 원, 335개 신ㆍ증설기업에 4,315억 원, 그리고 38개 유턴기업에 180억 원의 토지매입비, 설비투자비 일부를 지원했다.

'지방 이전기업 지원'은 충청권이 78개 기업 이전으로 984억 원을 지원 받아 타 지역을 압도했다. 이는 전국 실적의 절반 이상이다.

충남은 44개 기업이 이전해 438억7천만 원을 지원 받아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충북이 14개 기업 이전에 256억6천만 원을 지원 받아 2위였고, 세종시는 11개 기업이 이전해 220억3천만 원을 지원 받아 4위를 기록했다.

대전은 9개 기업이 68억9천만 원을 지원 받아 광역시 중 최고였다.

충남 예산시는 23개 기업이 이전해 264억8천만 원을 지원 받아 기초자치단체 중 1위였다.

반면 가장 초라한 실적을 기록한 것은 '대구ㆍ경북'이었다. 대구는 2013년 2개 기업이 이전해 31억 원을 지원 받은 것이 전부였다. 경북 또한 7개 기업이 이전해 43억 원을 지원 받는데 그쳤다.

'부산ㆍ경남'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부산은 4개 기업에 63억 원을 지원 받았지만 울산은 실적이 전혀 없었다. 경남은 2013년 2개 기업이 이전해 43억 원을 지원받았다.

반면 '호남'은 '영남'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업 이전이 많았다. 전남에는 16개 기업이 이전해 146억 원을, 전북에는 5개 기업이 이전해 119억 원을 지원 받았다. 광주는 실적이 없었다.

각종 개발과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던 강원은 17개 기업이 이전해 247억4천만 원을 지원 받아 전체 3위를 차지했으며, 8개 기업이 이전해 133억 원을 지원 받은 제주도 상위권이었다.

'지방 신ㆍ증설 기업' 지원금은 335개 기업 4,315억원이 집행됐다.

전북이 41개 기업에 677억4천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57개 기업에 557억1천만 원의 지원금을 받은 경북이 뒤를 이었다.

대전과 울산은 지원금이 30억 원 미만에 그쳤다.

전북 김제시가 9개 기업을 신ㆍ증설해 257억1천만 원의 지원금을 받아 기초자치단체 1위를 차지했다.

'유턴기업'의 경우 38개 기업에 180억 원을 지원했다. 그 중 30개, 108억7천만 원이 전북으로 가장 많았으며 익산시가 26개 유턴기업에 66억2천만 원을 지원 받아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철우 의원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 이전기업의 충청권 쏠림을 완화하고 멀리 떨어진 지역에도 기업들이 적극 투자하도록 제도를 손봐야 할 것"이라며 "유턴기업 지원 또한 획기적으로 높여 많은 기업들이 지방에서 일자리를 만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