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신종 불공정거래 꼼짝마!"…금융당국 팔 걷어붙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금감원·거래소·검찰, 불공정거래 대응 협력방안 모색

연합뉴스

금융위원회
[연합뉴스TV 캡처]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금융당국과 관계기관이 상장사 경영권을 인수해 호재성 허위사실 유포 등 수법으로 주가를 띄워 부당이득을 취하는 '기획형 복합 불공정거래' 확산을 막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금융위원회 산하 자본시장조사단과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등 기관은 26일 거래소에서 '불공정거래 관계기관 합동 워크숍'을 개최해 신종 불공정거래의 유형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최근 투자조합이나 비외감법인이 상장사 경영권을 인수한 뒤 제3자배정 유상증자 등을 추진하면서 호재성 허위사실 유포를 통해 주가를 띄워 차익실현을 도모하다 적발된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워크숍에선 시간외거래를 통한 대량매매(블록딜)에서 주식을 저가로 매수하기 위해 대량 공매도로 주가 하락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거나 코넥스 기업 경영진이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을 하려고 시세를 조종한 사례가 발표됐다.

연합뉴스

금융감독원
[연합뉴스TV 제공]



상장회사와 자문계약 등을 통해 알게 된 중요정보로 주식매매를 하거나 타인에게 이용하도록 하고,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허위·과장된 내용이 담긴 문자메시지를 유포하면서 주식매수를 권유하다 걸린 사건도 공유됐다.

금융위는 이런 기획형 복합 부정거래 사건은 사회적 파장이 크고 투자자 피해가 광범위한 만큼 신속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본시장조사단과 금감원 조사1국, 거래소 심리부와 특별심리실, 검찰 합수단 간 긴밀한 협의를 당부했다.

유광열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은 "각 관계기관이 서로 장점을 극대화하는 협력을 통해 규제 공백을 메워가는 것이 시장의 신뢰를 얻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국거래소
[연합뉴스TV 캡처]



이동엽 금감원 부원장은 "신종 불공정거래에 대한 효율적 대응을 위해 조사역량을 강화하고, 예방 및 홍보활동을 지속해서 전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규제기관의 단속 의지가 시장에 신속히 전달될 수 있도록 유기적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engin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