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서울아산병원 추천 부모님 건강 챙기기②뇌졸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뇌 혈관 막히고(뇌경색) 터지는(뇌출혈) 병

나이 들수록 혈관벽 약해져 뇌졸중 위험 커

반신마비·발음장애·안면마비·실어증 나타나

증상 보이면 즉시 의료기관 연락한 뒤 조치해야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석을 맞아 체크해야 할 부모님 질환 10개 중 두 번째 질환은 뇌졸중입니다. 뇌는 우리 몸의 '사령탑'입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나뉩니다. 뇌혈관질환은 한국인 사망 원인인 3위를 차지하는 무서운 병입니다. 25일 소개한 심장질환 못지않게 노인을 위협하는 질환입니다.

중앙일보

그래픽=김현서 기자kim.hyeonseo1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은 후유증이 심해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 큰 부담을 안깁니다. 정호승 시인은 뇌경색에 걸린 아버지를 보고 '못'이라는 작품을 남겼습니다. 가족의 안타까움이 고스란히 묻어납니다.

때밀이 청년이 벌거벗은 아버지를 펴려고 해도/더이상 펴지지 않는다/아버지도 한때 벽에 박혀 녹이 슬도록/모든 무게를 견뎌냈으나/벽을 빠져나오면서 그만/구부러진 못이 되었다(‘못’부분).

중앙일보

뇌졸증 후유증으로 몸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가 자신이 입원 중인 경기도의 한 요양병원에서 창문을 바라보고 있다.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적절한 운동과 식습관 관리를 해야 한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환자의 사례를 보시죠.

인쇄소를 운영하는 김 모(68)씨는 50년간 담배를 피웠답니다. 10년 전부터 고혈압을 앓았고, 2년 전에는 당뇨병 진단을 받았죠. 담당 의사가 금연을 권고했지만 듣지 않았어요.

지난 8월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TV를 보던 중 화면 자막이 잘 보이지 않더니, 이틀 뒤부터 일하기 힘들 정도로 팔에 힘이 빠졌습니다. 아들이 김 씨를 응급실로 데려갔습니다.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의료진은 곧바로 혈관을 막은 피떡(혈전) 용해제를 투여했죠. 지금은 말이 좀 어눌하고 일부 마비 증세가 있어 재활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부분 마비가 생겨 혼자서 식사를 못 하고 혼자 걷지 못합니다.

중앙일보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권순억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권순억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은 어쩌면 죽음보다 더 무서운 질환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권 교수가 왜 이런 말을 했을까요. 권 교수의 도움을 받아 부모님의 뇌졸중 징후을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Q : 뇌졸중은 왜 생기는가.



A : 뇌졸중은 뇌혈관의 문제로 발생한다. 고혈압·당뇨병·흡연으로 뇌혈관에 지방 성분과 염증세포가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 순환이 잘 안 된다. 부정맥·심장 판막 질환일 때 심장에서 생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을 막기도 한다. 뇌로 가는 혈관은(경동맥)은 목을 통과하는데, 무리하게 목을 돌리거나 카이로프락틱 등을 받을 때 혈관벽이 찢어지거나 염증이 생겨 뇌경색이 생길 수 있다. 나이가 들면 혈관벽이 약해 뇌졸중이 더 잘 생긴다.


중앙일보

그래픽=김현서 기자kim.hyeonseo1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이런 증상이 있으면 모두 뇌졸중인가.



A : 뇌졸중과 헷갈리는 질환이 많다. 어지럼증은 귀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전정기관 문제일 수 있다. 귀에 문제가 있으면 주위가 빙빙 도는 듯한 느낌이 든다. 뇌에 문제가 있으면 아찔하거나 기절할 것 같은 느낌으로 표현되곤 한다. 뇌에 암이 생기는 뇌종양일 때도 뇌조직이 손상돼 역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뇌종양으로 인한 증상은 처음에는 약하게 나타났다가 종양이 커지면서 악화된다. 손·머리가 떨릴 때 흔히 뇌졸중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긴장할 때나 물건을 잡을 때 특히 증상이 심해지면 이상운동질환인 '진전증'일 가능성이 크다. 진전증은 뇌졸중과 무관한 질환이다.
중앙일보

정상인과 뇌졸중(뇌경색·뇌출혈) 환자 컴퓨터단층촬영(CT) 비교 [사진 서울아산병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뇌졸중은 어떤 검사로 확인할 수 있나.



A : 뇌졸중으로 응급실에 오면 주로 뇌 CT을 찍는다. 뇌출혈의 경우 CT에서 흰 부분으로 나타나 쉽게 진단할 수 있다. 반면 뇌경색은 초기 단계에서는 CT로 알아내기 어렵다. 그래서 최근에는 응급실에서 뇌 MRI(자기공명영상)를 찍기도 한다. 비용이 비싸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CT보다 빠르고 정확하다.




Q : 뇌졸중 환자 발생 시 응급 대처법은.



A : 가장 중요한 건 가능한 빨리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안전하게 옮기는 것이다. 뇌졸중이 발생한 후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으면 뇌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의료진이 오기 전까지는 환자를 편한 상태로 눕힌 뒤 벨트·넥타이 등을 풀어 호흡과 혈액순환을 돕고 입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토할 경우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는 등의 응급 처치를 한다.




Q : 망가진 뇌가 회복될 수 있나.



A : 한번 손상된 뇌 조직은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 단 시간이 지나면 손상된 부분의 뇌 기능을 다른 정상 조직이 도와 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6개월까지 회복 속도가 빠르고 그 뒤로는 더디다. 한 번 뇌졸중에 걸리면 뇌혈관이 손상돼 재발하기 쉽다. 뇌졸중은 여러 번 재발할수록 회복하기 어렵다. 약을 먹으면서 고혈압·당뇨병 등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서울아산병원 권고 체크리스트 10>

①심장·혈관(심장내과 이승환 교수)

②뇌졸중(신경과 권순억 교수)

③치매(신경과 이재홍 교수)

④귀(이비인후과 안중호 교수)

⑤눈(안과 김명준 교수)

⑥무릎관절(정형외과 이범식 교수)

⑦임플란트(치과 안강민 교수)

⑧잇몸병(치과 김수환 교수)

⑨만성질환(노년내과 이은주 교수)

⑩건강한 노년을 위한 운동(재활의학과 김원 교수)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