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中·러, 北核 규탄… 군사대응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교 수장 유엔총회 기조연설/왕이 “긴장완화해 타협점 찾아야”/라브로프 “과잉대응은 재앙 초래”

21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나선 중국과 러시아 외교 수장들이 북한의 핵개발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일각의 군사대응 가능성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세계일보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연설에서 북한을 겨냥해 “더 이상 위험한 길로 가지 말라”고 경고했다. 왕 부장은 이어 “북이든 남이든 한반도에 핵 국가가 있어서는 안 된다”며 “모든 당사국은 긴장을 완화해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왕 부장의 언급은 북한의 핵개발을 용납할 수 없다는 중국 정부의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한국 안팎에서 제기되는 전술핵 한반도 배치와 자체 핵무장도 반대한 것으로 해석된다. 왕 부장은 미국 등 일각에서 제기된 대북 군사옵션 가능성에 대해 “협상이 위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여전히 평화를 향한 희망은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북한과 한국, 미국 사이의 긴장 완화를 위한 대화 복귀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국을 향해서는 ‘4대 노(no)’ 약속을 지키라고 촉구했다. 이는 지난달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북한의 붕괴와 북한의 정권교체, 한반도 통일 가속화, 북한에 대한 군대 파견 등을 하지 않겠다고 한 선언을 언급한 것이다.

세계일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북한의 핵·미사일 모험을 단호히 규탄한다”며 “북한 핵·미사일 실험에 대한 군사적 과잉 대응은 재앙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북핵 개발에 반대하지만, 미국 등의 군사적 대응도 반대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9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을 겨냥해 ‘완전 파괴’ 등 초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한편 북한 리용호 외무상의 기조연설은 애초 예정된 22일에서 23일로 연기됐다. 리 외무상은 23일 오전 시간대의 마지막 순번을 배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리 외무상의 기조연설 연기가 북한 당국의 요청에 의한 것인지, 유엔의 전체 기조연설 순번 조율과정에서 재조정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워싱턴=박종현 특파원 bali@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