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靑 "文 대북지원 설명에…트럼프 `그럴수 있겠다`고 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대통령 귀국 기내 간담회

매일경제

유엔총회 참석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존F케네디 국제공항 출발 전 전용기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욕 = 이충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서 다자외교를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북핵 문제로) 동북아시아 전체가 대치되는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유럽연합(EU)처럼 동북아 전체가 경제적인 공동체가 되고 또 다자적인 안보 협력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제72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이날 귀국행 비행기에서 취재기자들과 기내 간담회를 하고 "동북아가 이런 협력구도로 가야 (한반도) 안보 문제가 근원적이고 항구적으로 해결돼 평화체제가 구축될 수 있다. 그것이 우리가 꿈꾸는 원대한 미래"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실시한 유엔 연설에서 "동북아 안보의 기본 축과 다자주의가 지혜롭게 결합돼야 한다"며 "다자주의 대화를 통해 세계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유엔 정신이 가장 절박하게 요청되는 곳이 바로 한반도"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라면 다자외교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북핵 문제의 근원적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면서 "양자회담, 3자·4자·6자회담 등 어떤 형태든 이것이 옳다, 저것이 옳다 말할 문제는 아니며 어떤 형태의 대화든 모색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동북아 전체의 다자주의에 입각한 집단적 안보협력, 다자 안보협력을 말하는 것은 보다 근원적 상태를 의미한다"고 부연했다.

이번 방미기간 만난 리처드 하스 미국외교협회(CFR) 회장이 북핵 해결을 위한 창의적 외교를 조언한 것과 관련해 "(북한의) 도발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의 악순환에서 벗어나는 게 큰 과제"라며 "이런 상황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창의적 해법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현 상황에선 창의적 외교조차 시도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창의적 외교조차 뭔가 긴장이 완화되면서 한숨 돌려야 가능하다"면서 "지금처럼 잔뜩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는 선뜻 다른 해법을 모색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지금은 북한에 대해서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압박하는 것 외에 달리 다른 방법이 없다"면서 "이 고비를 넘어서고 북한이 도발을 중단한다면 그때는 좀 더 근본적 해법이 모색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미국 뉴욕 롯데팰리스호텔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최첨단 군사자산 획득과 개발 등을 통해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강화하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합의했다. 또 양국 정상은 한국과 주변 지역에 미국 전략자산의 순환 배치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경북 성주에 임시배치가 완료된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포대를 화제로 꺼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사드 배치는 끝났다면서요"라고 묻자, 문 대통령은 배치 과정을 설명한 뒤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타격이 심한데 미국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 요청에) 관심을 갖겠다고 했다"며 "11월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중·일을 방문하는데 그때 (사드 보복 문제가) 다뤄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도통신 등 일본의 일부 언론들이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21일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인도적 대북 지원에 신중을 기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하자 청와대가 즉각 부인하고 나섰다.

최근 우리 정부가 북한에 800만달러 규모의 북한 취약계층 지원 방침을 밝힌 데 대해 미·일 정상이 문 대통령에게 항의성 발언을 했다는 것이 보도 내용이다.

닛폰TV는 한발 더 나아가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미·일 정상이 한국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거론하며 "지금이 그럴(인도 지원을 할) 때인가"라며 난색을 표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와 동행한 소식통은 닛폰TV에 "트럼프 대통령이 상당히 화를 냈다"면서 "이것으로 인도 지원은 당분간 실시하지 않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산케이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찬 때 아베 총리에게 '북한을 봉쇄하려면 힘이 필요하다. 신조(아베 총리의 이름)는 힘이 있고, (문재인 대통령은) 힘이 없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청와대 측은 일본 정부와 해당 언론사에 강한 유감의 뜻을 밝혔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2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현장에 배석한 우리 관계자는 해당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의도적 왜곡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정상 간 만남에 대화 내용은 공식 브리핑 외에 언급하지 않는 게 외교 관례인데도 사실과 동떨어진 내용이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계속 보도되고 있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이런 상황이 재연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인도 지원에 대한) 문 대통령의 말씀을 듣고 그럴 수 있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간단히 하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청와대 측은 일본 당국자들이 자국 언론을 통해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일 정상 간 심각한 이견이 있는 것처럼 얘기를 흘리면서 문 대통령의 순방 성과를 폄훼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도쿄 = 정욱 특파원 / 뉴욕 =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