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두달 만에 다시 만난 한·미·일 정상, 굳건한 공조 재확인(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 참석한 文 대통령

“美 행정명령 독자적 제재, 北 비핵화에 효과적”

트럼프 “한국·일본에 대한 방위공약 굳건 유지”

이데일리

[뉴욕=이데일리 김성곤 김영환 기자] 한·미·일 정상이 다시 뭉쳤다. 지난 7월 초 독일 함부르크에서 있었던 G20 정상회의 이후 두 번째 회동이다.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대북 제재와 압박을 최고 수준으로 강화하고 한·미·일 3국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동의했다.

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한·미 정상회담 이후 곧이어 한·미·일 3국 정상간 오찬 회동을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과 북핵 문제 해법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에 대한 미국의 독자적 제재 조치를 평가하면서 분위기를 이끌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말씀하신 미국의 행정명령을 통한 독자적 제재 조치는, 그리고 중국의 또 전향적인 조치들은 완전한 북한의 비핵화를 이루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단호한 조치를 내려주신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시 감사드리고 한국도 그에 대해서 최대한 공조하겠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이 행정명령을 통해 새로운 대북 제재 조치를 결정했다고 설명한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이라든지 무역협정 (사안)을 한국, 일본과 논의할 것”이라면서도 “이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물론 북한 문제가 훨씬 더 우선 중요하다”고 우선 순위를 제시했다.

아베 일본 총리도 “방금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다시피 새로운 집행 명령을 서명한 것은 새로운 차원의 압박을 북한에 가한 것이 된다”라며 “이 새로운 북한의 제재 조치에 대해 진심으로 지지한다. 3국 간 협력을 통해서 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철폐로 나아가야겠다”고 말했다.

회동 후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 대한 방위공약이 굳건하고 흔들림없이 유지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강 장관은 또 “북핵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3국의 안보 분야 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도 덧붙였다. 변함없는 3국의 안보 공조를 내세운 것이다.

강 장관은 또 “3국 정상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동북아와 국제사회 전반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북한이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대화 장으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최고 강도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데 공감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가 유례 없이 신속하게 만장일치로 통과된 점을 평가하고 모든 회원국 충실히 이행하도록 3국간 공조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한·미·일 간의 굳건한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 러시아 등 관련국과 긴밀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도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한·미·일 3국 정상간 오찬 회동을 끝으로 3박5일간의 미국 뉴욕 방문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오른다. 22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할 예정이다. 강 장관은 이번 유엔 총회에 대해 “한·미 간 긴밀한 정책 공조를 바탕으로 한·미·일 3국의 협력 및 여타국들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 핵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결집하는 기회가됐다”고 평가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