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6 (목)

이주열 “미 FOMC 결정은 예상대로…국내물가·북한위험 중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보유자산을 줄여 긴축에 나서기로 한 데 대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시장 예상에 대체로 부합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이 총재는 국내 기준금리 결정에는 국내 경기와 물가, 북한 위험요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향신문

이 총재는 21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출근길에 만난 기자들에게 “연준의 12월 금리 인상과 자산축소 계획은 전반적인 시장의 예상”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이 약간 늦춰질 것이라는 기대가 없지 않았지만,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은의 기준금리 정책에 대해선 “국내경기와 물가 경로가 중요하고 북한 리스크가 있으므로 셈법이 복잡해질 것”이라며 “시장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12월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에 이 총재는 “일반적으로 내외 금리 차가 확대되면 문제가 있으니 통화정책의 고려 요인이지만 금리 차만 갖고 (통화정책을) 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앞서 미 연준(Fed)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4조5000억달러(약 5078조원)의 보유자산 축소 계획을 발표했다. 또 올해 안에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연 1.0~1.25%로 한국 기준금리(1.25%)와 같은 수준이다. 미국이 금리를 추가로 올리면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될 수 있다. 미국은 9년여만인 2015년 12월과 지난해 12월, 올해 3월, 6월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올리면 ‘제로(0) 금리’ 시대를 끝냈다.

또 미 연준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 국채와 주택담보부채권(MBS) 등 보유자산을 대거 사들이며 ‘양적완화’를 단행했다가 9년 만에 다시 줄이기로 한 것이다. 정확히는 이들 자산을 적극 파는 방식 대신 만기가 돌아오는 경우 재투자를 하지 않아 매월 100억달러씩 자산을 축소해나간다는 쪽이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시중에 풀린 돈을 끌어들여 긴축효과를 내고 사실상 장기금리를 올리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한국 기준금리 인상이 없을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을 빠져나갈 수 있다. 2013년 미 연준이 자산 매입을 줄이자 국내 외국인 투자자금이 대량 빠져나간 적 있다.

특히 유럽중앙은행(ECB)도 앞서 긴축하기로 한 상황이어서 한은의 대응이 주목된다. 다만 해외 금리 인상이 외국 자본 유출로 바로 이어지지는 않는 데다, 특히 국내 물가와 경기 상황, 최근 높아진 북한 리스크까지 감안해 오는 11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기준금리에 손을 댈 지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전병역 기자 junby@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