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인터넷이 뭔지, 코딩이 왜 생겼는지 알아야 똑똑하게 쓰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컴퓨터·인터넷·휴대폰 그리고 온갖 전자 기기들…. 우리는 매일 디지털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인터넷의 올바른 사용법은 무엇인지, 코딩을 왜 배워야 하는지 똑 부러지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죠. 『인터넷, 알고는 사용하니?』는 이에 대한 대답을 담은 책입니다. 스웨덴에서 온 이 책의 저자 카린 뉘고츠 작가를 소중 학생기자들이 만났습니다.

중앙일보

스웨덴의 어린이 IT 교육 선구자이자 '인터넷, 알고는 사용하니?'(마음이음)의 저자인 카린 뉘고츠(가운데)를 한제인(왼쪽)·이재훈 소중 학생기자가 만나 인터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재훈-스웨덴은 코딩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나요?

“내년부터 코딩 과목이 의무 교육과정에 포함돼 초등학교 1학년부터 코딩 수업을 받게 돼요. 지금도 선택 과정으로 코딩 교육이 이뤄지고 있고요. 처음 코딩을 접하는 학생들이 재밌게 배울 수 있도록 게임 같은 형식으로 재미있게 수업하죠. 수학이나 기술과학 시간뿐 아니라 생물 등 다른 과목 시간에도 코딩과 접목된 수업을 해요. 코딩이라고 하면 컴퓨터로 수업하는 것만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 몸을 움직이면서 놀이하듯 코딩의 개념과 원리를 배워요. 예를 들면, 여러 가지 명령어를 이용해서 ‘인간 보드게임’을 하는 식으로요.”



-(제인)창의적 인재가 되려면 코딩을 꼭 배워야 하나요?

“디지털 세상이 코딩을 통해 이뤄져 있다는 걸 이해할 필요는 있어요. 하지만 어떤 한 가지 컴퓨터 언어를 이용해서 코딩할 수 있는 지보다는, 코딩이라는 게 왜 생겨났고 원리는 무엇인지 개념을 이해하는 게 훨씬 중요해요. 컴퓨터 언어는 바뀔 수도 있거든요.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세상이 어떻게 변화할지 아무도 알 수 없어요. 지식을 많이 아는 것보다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그러려면 스스로 질문하고 생각하는 힘, 이를 통한 자신감이 있어야 하죠.”



-(재훈)우리나라와 다른 나라들의 인터넷 사용 규정은 서로 다른가요?

“맞아요. 외국에서 인터넷을 쓸 때에는 그 나라의 법을 따라야 해요. 스웨덴과 한국에서는 어떤 건물의 사진을 찍어서 온라인에 올려도 괜찮지만 프랑스에서는 불법이에요. 악플에 대한 규정은 미국보다 스웨덴에서 더 엄격하죠. 그런데 조금 복잡한 문제가 있기는 해요. 만약 한국에서 어떤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그 사이트의 서버가 아일랜드에 있다면 아일랜드의 법을 따라야 하거든요.”



-(제인)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조언 한 말씀 주세요.

“인터넷에서 어떤 웹페이지에 들어갈 때마다 잘 살펴보고 다음 질문들을 스스로 생각해보세요. ▲웹페이지를 만든 곳 또는 사람은 누구인가?(개인, 회사, 혹은 학교?) ▲웹페이지를 만든 목적은 무엇인가?(물건을 팔려고? 아니면 뭔가 이야기하려고?) ▲웹페이지의 정보는 얼마나 오래되었나? 웹페이지 책임자의 연락처가 나와 있나?

인터넷에서 본 콘텐츠가 좋은 건지 나쁜 건지 어린이들도 판단할 수 있어요. 그런데 많은 어린이들이 나쁜 콘텐츠를 발견해도 부모님께 얘기하지 않아요. 부모님이 인터넷을 하지 말라고 할까봐서죠. 부모님과 자녀들이 솔직하게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또, 인터넷에 대해서만큼은 여러분이 부모님께 오히려 가르쳐드릴 수도 있어요. 어떻게 사용하면 더 편리하고 빠른지 알려드리세요. 우리 가족만의 명령 조건을 만들어서 아침에 내가 침대에서 일어나 화장실로 향하고 양치를 하도록 부모님이 프로그래밍 해보는 건 어떨까요. 아침마다 양치하는 게 재밌을지도 몰라요.”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따돌림

인터넷에서 퍼지는 기분 나쁜 이미지, 영상, 글 등을 뜻해요. 소셜미디어에서 아무도 친구가 되려 하지 않는 것도 인터넷 따돌림이에요. 인터넷에서도 학교에서도 다른 사람들을 따돌리고 모욕하는 일은 금지되어 있어요. 내가 혹은 다른 사람이 이런 일을 당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어른과 상의하세요.





웹사이트 암호 만드는 팁

-짧은 암호보다 긴 암호를 사용하세요.

-같은 암호를 여러 곳에서 사용하지 마세요.

-이메일 암호는 가장 어렵고 안전한 것으로 만드세요. 암호 재설정을 요청하면 새로운 암호를 받는 곳이 이메일이기 때문에 중요한 보호 대상이랍니다.

-암호를 다른 사람과 절대 공유하지 마세요.

-해킹을 당했다면 바로 암호를 바꾸고 그 암호는 다시 사용하지 마세요.

-암호를 잊어버리지 않는 방법은 유명인이나 동물, 장소 등 이미지로 떠올릴 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거예요. 두뇌는 이미지를 더 잘 기억하기 때문이죠. (예 : wjaqkrdlrhdiddl -영문 키보드로 '점박이고양이' 입력)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린뉘고츠는...

스웨덴의 어린이 IT 교육 선구자. 스웨덴 공영 교육방송 UR에서 방영한 스웨덴 최초의 어린이 코딩 교육 TV프로그램 ‘Programmera mera’를 직접 기획하고 진행자로 출연했다. 최고의 선생님상과 황금사과상, 2014년 올해의 디지털 인스피레이터상을 받았으며 2015년에는 사회를 위한 건강한 IT 발전 공로로 셸 훌트만 기금을 받기도 했다.













=최은혜 기자 choi.eunhye1@joongang.co.kr, 동행취재=이재훈(서울 월촌초 4)·한제인(인천 먼우금초 4) 학생기자, 사진=안현지(오픈 스튜디오)

로우틴을 위한 신문 ‘소년중앙 weekly’

구독신청 02-2108-3441

소년중앙 PDF 보기 goo.gl/I2HLMq

온라인 소년중앙 sojoong.joins.com

소년중앙 유튜브 채널 goo.gl/wIQcM4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