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베이징현대 '사드 난국' 속 충칭공장 본격 가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7월 중국 충칭시 관계자들과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충칭공장 생산기념 축하레버를 당겼다. (장시용 베이징기차 총경리(왼쪽부터), 천뤼핑 충칭시 부시장 겸 량장신구 주임,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장궈칭 충칭 시장, 쉬허이 베이징기차 동사장 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가 중국 다섯 번째 생산시설인 충칭 공장을 본격 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급감했던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이달 초부터 충징 공장을 가동했다. 기존 계획보다 두 달정도 앞당긴 일정이다. 충칭공장에서 생산한 소형 세단 루이나(영문명 베르나)를 19일부터 판매하기로 했다.

베이징현대 고위 관계자는 “외부 영향으로 충칭공장이 가동을 못 하고 생산 테스트만 해왔다”면서 “애초 11월에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었지만 최근 판매가 회복세를 보여 일정을 앞당겨 정상적인 생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베이징현대는 충칭공장을 지난달에 가동하려고 했다. 그러나 사드 직격탄 등으로 판매가 반 토막 나고 부품업체 대금 미납 사태까지 불거지면서 시험 생산만 한 채 본격 가동은 미뤄왔다.

이번 충칭공장 본격 가동으로 현대차는 베이징의 1공장(30만대)·2공장(30만대)·3공장(45만대), 창저우공장(30만대)을 포함해 중국에서 총 165만대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다.

충칭공장은 충칭시 량장신구 국가경제개발구역 내 203만4000㎡의 부지에 29만8000㎡ 규모로 건설됐다. 프레스, 차체, 도장, 의장라인은 물론 엔진공장까지 갖춘 종합공장이다. 현대차와 베이징기차가 공동으로 10억달러를 투자했다. 충칭공장에서 올해 7만~8만대를 생산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베이징현대가 5개 공장 체제에 돌입하면서 판매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이징현대는 올해 상반기에 사드 여파로 판매가 반 토막이 났으나 하반기 각종 할인 정책으로 판매 하락세가 둔화하는 분위기다. 베이징현대 관계자는 “올해 전반적으로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달부터 판매가 올라가는 추세”라고 전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