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박주선 의원실, 올 1~7월 외교부 자료
사이버 공격 및 해킹 시도 8269건으로 지난해 1년분 육박
중국 해커 조직 보복 예고, 주중 한국공관 홈페이지 접속 불량도
"국가기밀 유출 방지 위한 사전적 예방 시스템 구축해야"
[사진 Pexel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박주선 의원(국회 부의장)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7월에 외교부를 대상으로 8269건의 사이버 공격과 해킹 시도가 탐지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집계된 건수(8482건)에 육박하는 수치다. 연도별로 2013년엔 5526건, 2014년 5171건, 2015년 9029건에서 크게 늘어난 추세다.
공격에 사용된 IP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중국발 공격은 지난해 2551건(전체 4660건의 54.7%)에서 올 1~7월 4509건(전체 5960건의 75%)으로 급증했다. 중국 외 국가에선 미국 596건, 한국 332건, 프랑스 105건, 네덜란드 101건, 러시아 84건 등이었다.
최근 5년 간 외교부에 대한 해킹 및 사이버 공격 시도한 IP별 상위 10개국 현황. [박주선 의원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당국의 느슨한 관리로 인해 일반적으로 중국 IP를 통한 해킹 공격이 많은 편이다. 중국 해커일 수도 있고 북한이나 다른 국가들이 중국 IP를 경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드 보복을 의심하는 것은 올 상반기엔 사드 배치 절차가 본격화되고 이에 따른 실제 해킹 보복 움직임들이 포착된 바 있기 때문이다. 사드가 국내로 반입된 지난 3월 중국의 한 해커조직은 한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예고했다. 지난 4월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본부가 있는 사이버보안업체 파이어아이를 인용해 중국 정부나 인민해방군과 연관된 해킹조직 2곳이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정부 기관과 주요 웹사이트를 공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이 시기에 주중 한국공관들의 홈페이지가 사이버 공격 등으로 인해 접속이 안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홈페이지 해킹 시도가 9307건(25.5%)으로 가장 많았고, 메일 계정 탈취 시도 및 해킹메일 수신이 6591건(18%), 비인가 접근 시도 6420건(17%) 순이었다.
박주선 국회 부의장은 “외교부와 재외공관은 국가안보에 직결된 각종 정보의 집합소인 만큼 해킹과 사이버 공격으로 국가기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적 예방과 시스템 구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