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6 (수)

사드 보복인가? 올들어 중국발 ‘외교부 해킹 시도’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의당 박주선 의원실, 올 1~7월 외교부 자료

사이버 공격 및 해킹 시도 8269건으로 지난해 1년분 육박

중국 해커 조직 보복 예고, 주중 한국공관 홈페이지 접속 불량도

"국가기밀 유출 방지 위한 사전적 예방 시스템 구축해야"

올해 들어 외교부에 대한 중국발 해킹시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반대하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절차가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진행된 점을 고려하면 시기적으로 사드 보복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일보

[사진 Pexel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박주선 의원(국회 부의장)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7월에 외교부를 대상으로 8269건의 사이버 공격과 해킹 시도가 탐지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집계된 건수(8482건)에 육박하는 수치다. 연도별로 2013년엔 5526건, 2014년 5171건, 2015년 9029건에서 크게 늘어난 추세다.

공격에 사용된 IP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중국발 공격은 지난해 2551건(전체 4660건의 54.7%)에서 올 1~7월 4509건(전체 5960건의 75%)으로 급증했다. 중국 외 국가에선 미국 596건, 한국 332건, 프랑스 105건, 네덜란드 101건, 러시아 84건 등이었다.

중앙일보

최근 5년 간 외교부에 대한 해킹 및 사이버 공격 시도한 IP별 상위 10개국 현황. [박주선 의원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당국의 느슨한 관리로 인해 일반적으로 중국 IP를 통한 해킹 공격이 많은 편이다. 중국 해커일 수도 있고 북한이나 다른 국가들이 중국 IP를 경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드 보복을 의심하는 것은 올 상반기엔 사드 배치 절차가 본격화되고 이에 따른 실제 해킹 보복 움직임들이 포착된 바 있기 때문이다. 사드가 국내로 반입된 지난 3월 중국의 한 해커조직은 한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예고했다. 지난 4월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본부가 있는 사이버보안업체 파이어아이를 인용해 중국 정부나 인민해방군과 연관된 해킹조직 2곳이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정부 기관과 주요 웹사이트를 공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이 시기에 주중 한국공관들의 홈페이지가 사이버 공격 등으로 인해 접속이 안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홈페이지 해킹 시도가 9307건(25.5%)으로 가장 많았고, 메일 계정 탈취 시도 및 해킹메일 수신이 6591건(18%), 비인가 접근 시도 6420건(17%) 순이었다.

박주선 국회 부의장은 “외교부와 재외공관은 국가안보에 직결된 각종 정보의 집합소인 만큼 해킹과 사이버 공격으로 국가기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적 예방과 시스템 구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