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3 (목)

‘유턴’ 이마트에 롯데 ‘전전긍긍’...유통사 ‘차이나 엑시트’ 본격화하나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마트, 중국 사업장 완전철수 결정

롯데마트, 자금수혈로 '버티기' 들어가

한·중정상회담 불발 시 롯데 피해 '눈덩이'

"사드보복 올해 넘길 시 사업장 철수도 고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박성의 기자] 사드(THAAD·고도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유통업계도 치명상을 입었다. 중국 정부가 소방점검 등의 이유로 매장을 강제로 닫게 한 국내 마트만 수십 군데다. 한국 유통기업을 향한 반한감정이 최고조에 이르면서 각종 판촉과 영업활동이 불가능해졌다. 이마트가 중국 전 점포를 매각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롯데는 한·중 갈등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일 경우 중국 롯데마트 철수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중국 내 이마트를 해외그룹에 매각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현재 중국에는 이마트 점포 6개가 있다. 이마트는 이 가운데 5개를 태국 최대 재벌인 CP그룹에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1개 점포인 화차오점은 다른 방식으로 팔 방침이다. 1997년 국내 대형마트로는 처음으로 상하이에 첫 매장을 연지 20년 만에 중국시장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것이다. 이마트가 철수를 결정한 이유는 실적 악화다. 중국 이마트는 지난 2011년 한 해 1000억원 넘는 손실을 기록한 후 최근 4년간 누적 적자액만 1500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지난 7일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까지 결정된 탓에, 이마트로서 더 이상 중국시장에서 반등 모멘텀을 찾기 어려워졌다.

‘중국 굴기’를 외쳤던 롯데그룹도 고민에 빠졌다. 롯데마트가 처한 상황은 이마트보다 심각하다. 이마트는 중국 내 점포 규모가 10개 미만으로 작지만, 롯데마트는 중국 내 전체 점포수가 이마트의 18배에 이르는 112개(슈퍼마켓 13개 포함)다. 이 중 87곳의 영업이 중단됐다. 나머지 점포도 중국 내 반한감정 여파로 영업을 포기한 상태다. 중국 롯데마트 전 영업장이 연말까지 ‘올스톱’ 될 경우, 피해액은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롯데그룹은 일단 올해만 버텨보자는 입장이다. 지난달 31일 중국 롯데마트·백화점 법인을 소유한 홍콩 롯데쇼핑 홀딩스가 중국 금융기관에서 직접 차입해 3억 달러(약 34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지난 3월 긴급 수혈한 3600억원의 운영자금이 최근 모두 소진돼 추가 차입을 결정한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인공호흡’마저 한·중 관계가 계속 악화될 경우 무의미하는 데 있다. 당초 연내 열릴 것으로 기대됐던 한·중정상회담은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와 북한 제재를 둘러싼 이견으로 정상회담을 거론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만약 중국이 사드 배치를 빌미로 한국기업 전반에 대한 세무조사 및 추가 영업 정지 등의 제재를 가할 경우, 중국 내 롯데 계열사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롯데는 1994년 중국에 첫 진출한 이후 10조원 넘는 금액을 투자했다. 현재 22개 계열사가 진출해 120여개 사업장, 2만6000여명의 임직원을 두고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중국시장 철수를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다. 해외사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장을 쉽게 포기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그러나 사드보복이 올해를 넘어서도 이어진다면 무작정 기다릴 수만은 없다. 그때 가서는 사업장 철수도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