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제주교육청, 검정 역사교과서 4·3 집필기준 마련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구용역 결과 교과서 집필진에 전달"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제주도교육청은 '제주4·3'에 대한 검정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안을 마련한다고 23일 밝혔다.

연합뉴스

제주교육청-4·3유족회 국정교과서 대응 논의[연합뉴스 자료사진]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14일 제주도교육청 제1상황실에서 열린 '제주도교육청-제주4·3희생자유족회 국정 역사교과서 공동 대응을 위한 간담회'에서 양윤경(왼쪽) 유족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석문 제주교육감. 2016.12.14 atoz@yna.co.kr



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4·3은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 및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된 사건이다. 현재까지 정부의 결정을 받은 희생자는 1만4천232명, 유족은 5만9천426명이다.

교육청은 이르면 2019년 적용될 예정인 검정 역사교과서 개발이 완료되기 전에 제주4·3 서술의 기준을 마련해 교과서 집필·연구진에 전달해 참고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이해 오는 10월부터 연말까지 집필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한다.

앞서 지난 18일에는 역사교사, 4·3 전문가, 학교장, 교육과정 전문가 등이 참여한 '검정 역사교과서 4·3 집필기준 마련 태스크포스(TF)' 협의회를 열었다.

TF는 앞으로 용역 과업지시서 마련과 용역 과정 검토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김경도 도교육청 교육연구사는 "제주4·3의 진실이 검정 역사교과서에 올바르게 실리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며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출간되게 함으로써 4·3의 전국화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가 지난해 11월 국정 역사교과서 검토본을 공개하고, 지난 1월 최종본과 검정교과서 집필기준을 발표하자 제주에서는 4·3 서술 미흡 등을 이유로 반발이 터져 나왔다.

당시 제주도는 지자체 차원의 유감을 표명했고, 제주도교육감과 4·3희생자유족회, 시민단체 등은 국정교과서 전면 폐기를 촉구했다. 지방정치권에서도 우려가 잇따랐다.

atoz@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