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 "일자리 문제 좋아질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엔 공감하지만 '세금 부담' 우려도

아주경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7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100일을 기념해 연 기자회견에서 미소짓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은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문제 해결에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일자리 정책 관련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성인들은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83.5%)’고 인식하고 있으나, 현 정부의 일자리 문제 해결을 긍정적(`좋아질 것' 73.4%)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자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는 `양질의 청년일자리 창출(52.8%)’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 사안으로는 ‘중장년 취업자의 일자리 안정성 제고(18.4%)’, ‘여성의 일자리 참여 확대 및 경력 단절 해소(12.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응답자 70% 이상은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에 공감하지만 세금 부담에는 우려를 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관, 사회복지사 등 ‘공공부문 생활밀착형 일자리 확대’와 ‘예산 범위 내 최대 일자리 확대’ 의견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은 각각 74.5%, 75.7%로 조사됐지만, 이 정책으로 ‘민간부문 일자리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47.8%가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세금 부담이 크므로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다’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응답과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약 35%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응답자 상당수(76.1%)는 최저임금 1만 원 인상에 공감하지만, '천천히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58.0%)'는 의견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올려야 한다(18.1%)'는 의견보다 많았다. 최저임금 인상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17.9%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11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무작위로 선정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이용한 방식(RDD, Random Digit Dialing)을 사용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5%포인트이다.
박상훈 기자 bomnal@ajunews.com

박상훈 bomnal@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