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문 대통령 “재정지출 낭비요인 줄여라”… 복지재원 마련 포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국가재정전략회의서 지시

내년 예산 절감규모 9조→11조로
한국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100일을 내외신 기자간담회를 열고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00대 국정과제 이행에 필요한 178조원의 재원조달 확보를 위해 강도 높은 재정지출 개혁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세 등 세입 확충과 함께 재정지출의 낭비요인을 줄여 복지정책 확대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다. 문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산타클로스 같은 정책만 내놓는 게 아니냐는 걱정들을 하는데 꼼꼼하게 검토해서 설계된 것으로, 내년도 예산안을 보면 어떻게 재원을 마련할 방침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0~21일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기획재정부로부터 100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임기 5년 간 178조원의 재원조달 방안을 보고 받았다. 증세 등 세입 확충으로 82조6,000억원, 세출 절감으로 95조4,000억원을 마련하고, 세출 절감에선 재정지출 절감을 통해 60조2,000억원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재정지출 절감 분인 60조2,000억원의 경우, 2018년에 9조원으로 시작해 임기 마지막 해인 2022년 28조원 수준으로 규모를 확대하는 게 원래 계획이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첫 해부터 과감한 재정지출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전면 재검토를 지시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정부의 개혁의지가 가장 높고 국민들의 공감대를 확보할 수 있는 정권 초부터 강도 높은 재정 개혁을 요구한 것”이라며 “국정기획위 보고와 반대로 임기 후반으로 갈수록 재정지출 절감 규모가 감소하는 방식으로 설계하라는 지시였다”고 말했다. 여당 핵심 관계자는 “사회간접자본(SOC)과 각 부처가 관성적으로 집행해온 사업이 주요 절감 대상”이라며 “임기 초 과감한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다음 정부에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지시 이후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달 9일 경제관계장관회의와 18일 당정회의를 잇따라 열고, 내년도 예산에서 재정지출 절감 규모를 당초 계획인 9조원에서 2조원 확대한 11조원 수준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불요불급하고 성과가 미흡한 사업, 집행실적이 부진하거나 정책 전환이 필요한 사업에 대한 적극적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며 “새 정부 첫 해에 확실한 구조조정이 돼야만 앞으로 5년 간 임기 내 계획한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재부는 재정지출을 10% 절감한 부처에는 인센티브를, 미달한 부처에는 페널티를 주기로 했다.

김회경 기자 herme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