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도종환 장관 "블랙리스트, 역사에서 다시는 없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3일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와 관련 “문화예술인을 재정적으로 배제하거나 사회적으로 배제하는 일이 역사에서 다시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도 장관은 이날 서울 대학로 이음센터에서 예술인들이 개최한 ‘청산과 개혁-블랙리스트 타파와 공공성 확립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다시는 연극인에게 극장을 뺏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어떻게 영화인들이 수십 년간 만들어온 영화제를 망가뜨리는 일에 영화진흥위원회가 앞장서고 국가가 나설 수 있나. 다시는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도 장관은 “예술인의 문화자유권과 문화창작권이 존중되고 지켜질 수 있는 나라를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며 “문화자유권과 문화창작권이 지켜져야 국민들도 문화향유권을 누릴 수 있다”고 했다.

도 장관은 문체부가 문화예술계와 함께 추진 중인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를 중심으로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문화예술계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도 장관은 “진상 조사를 철저하게 해서 책임질 사람을 책임지고 다시 이런 일이일어나지 않도록 필요하면 관련 법을 만들고 제도를 개선하겠다”며 “진상조사위와 함께 그동안 없애고 망가뜨린 사업, 예산을 삭감한 사업들을 되살리고 예산을 배정하고 새로운 사업을 지원하는 등 개선책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문화예술진흥기금 확충과 예술인 복지 개선에도 힘을 쏟겠다고 했다. 도 장관은 “바닥을 드러낸 문화예술진흥기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예술인 창작 지원에 국가가 나설 수 있도록 재정 당국을 설득할 생각”이라고 했다.

또한 “예술인 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고용보험 등 새로운 제도를 만들고자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블랙리스트 문제에 대응하고자 문화예술계 300여 개 단체와 8000여 명의 예술인이 참여해 결성한 ‘적폐청산과 문화민주주의를 위한 문화예술대책위원회’와 ‘블랙리스트 타파와 공공성 확립을 위한 연극인회의’가 주최했다.

토론회에는 100여 명의 현장 예술인과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의 필요성과 의미, 진상조사위원회의 쟁점, 예술지원제도의 개혁 방향, 국공립제작극장의 공공성에 대한 주제발표와 자유로운 토론이 이어졌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