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인공지능 활용 투자, '국내보다 해외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 2차 시험투자 수익률, 해외형>국내형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투자자문·일임운용 서비스인 '로보어드바이저'(RA)는 국내보다는 해외 자산에 투자한 유형에서 높은 수익률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코스콤에 따르면 2차 RA 테스트보드 본심사에 오른 22개 알고리즘 포트폴리오 가운데 심사를 시작한 3월 27일부터 2달간 누적 수익률이 높았던 유형은 국내보다는 해외 자산에 투자한 유형이었다.

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TV)



해외 유형의 경우 위험중립형(1.13%)이 가장 많은 수익률을 냈고, 이어 안정추구형(1.08%), 적극투자형(1.07%) 순이었다. 모두 1%가 넘었다.

반면 국내 자산에 투자한 포트폴리오 중에서는 적극투자형(1.37%)이 1%를 넘겼지만, 위험중립형(0.90%)과 안정추구형(0.75%)은 그렇지 못했다.

국내외 증시가 호조를 띠면서 다행히 RA의 수익률 모두 플러스(+)를 띠었지만, 코스피 등 주요 지수의 상승률과 비교하면 저조했다.

금융위원회는 RA의 수익성과 안전성, 보안성 등을 점검하기 위해 코스콤과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1차는 지난해 9월 5일부터 올해 4월 16일까지 진행됐고, 2차는 오는 11월 21일까지다.

<표> RA 유형별 누적수익률 (기간: 3월27일~6월23일, 단위: %)

 ┌────────────┬────────────┬───────────┐ │                        │국내 자산에 투자        │해외 자산에 투자      │ ├────────────┼────────────┼───────────┤ │안정추구형              │0.75                    │1.08                  │ ├────────────┼────────────┼───────────┤ │위험중립형              │0.90                    │1.13                  │ ├────────────┼────────────┼───────────┤ │적극투자형              │1.37                    │1.07                  │ └────────────┴────────────┴───────────┘ 


(제공=코스콤)

engin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