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노동부로 불러달라"는 조대엽 고용장관 후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박근혜정부가 추진해오던 소위 '양대지침(공정인사지침, 취업규칙해석 및 운영 지침)' 폐기를 시사했다. 또 고용노동부의 약칭을 '고용부'에서 '노동부'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25일 조 장관 후보자가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 따르면 조 후보자는 양대지침은 공론화 과정이 부족하고, 노사정 대타협 파기의 원인이기 때문에 장관으로 임명되면 이른 시일 내 양대지침을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해 초 고용부가 발표한 양대지침은 일반해고와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요건 완화를 말한다.

일반해고는 저성과자 해고를 뜻하고,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요건 완화는 근로자에게 불리한 사규를 도입할 때 노조나 근로자 과반수 동의를 받도록 한 법규를 완화하는 것이다. 박근혜정부는 성과연봉제, 단체협약 시정지도 등과 함께 이들 양대지침을 추진했다. 노동계는 쉬운 해고, 일방적 임금 삭감이라는 이유로 거세게 반발했다.

또 조 후보자는 일하는 사람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부처로 자리매김하도록 고용노동부의 약칭을 '고용부'에서 '노동부'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노동은 우리 사회의 중요 가치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정부는 경제, 일자리, 성장의 하부 개념으로 인식해 왔다"며 "정부 정책 운영 역시 경제부처가 나서고 고용노동부는 뒤따라가는 낡은 패러다임에 갇혀 있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조 후보자의 방침은 일자리위원회와 노사정위원회에서 진행될 노사정 사회적 대화에서 노동계의 목소리를 대변해주는 한편 이들을 현 정부의 우군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또 노동계의 지지를 기반으로 청문회를 돌파하겠다는 전략적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야3당이 음주운전 전력이나 사외이사 재직 기업의 임금 체불 등을 이유로 조 후보자를 반대하고 있지만 노동계의 든든한 지지는 문재인 대통령이 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명분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국민건강보험공단·국민연금공단·근로복지공단 노조들의 모임인 '사회보장기관노조연대'는 성명을 내 "노동의 가치가 존중되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고용노동부 장관의 조속한 임명을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전국금속노조연맹과 금융노조 또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들의 지지가 음주운전 등 여러 의혹으로 인해 곤경에 처한 조 후보자에게 바람막이 역할을 해줄지 관심이 쏠린다.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