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서울시, 2019년까지 자치구·농촌간 식재료 1대1 직거래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청·지하철 등에 과일·채소 자판기 50곳 설치

서울시, ‘서울 먹거리 마스터 플랜’ 발표

연내 식중독 예방진단 시스템 개발…’20년까지 시내 전 집단급식소 확대

내년부터 임상영양사 신규 배치 및 영양고위험 65세 이상 어르신에 영양꾸러미 제공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서울시가 2019년까지 812억원을 투자해 모든 자치구와 농촌간 1대1 직거래를 할 수 있는 공공조달 직거래시스템을 구축한다. 탄산음료 대신 과일과 채소섭취를 권장하기 위해 2020년까지 구청과 지하철역 등 공공시설에 50개소의 과일자판기를 설치한다.

서울시는 20일 시청 다목적홀에서 전문가와 시민사회단체 등 3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서울 먹거리 마스터 플랜’을 발표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 자리에서 “먹는 문제는 먹거리 주권 회복의 문제”라며 “전국 최초 친환경 무상급식을 시작했던 서울시가 다시 한 번 선도적으로 도·농상생 먹거리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먹거리 문제를 건강과 안전 영역에 한정짓지 않고 복지·상생·환경같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으로 확장시켜 ‘생산-유통-소비’ 전 단계를 아우르는 방향으로 먹거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치구·농촌 직거래 확대…친환경 식재료 비율↑

시는 친환경 식재료 보급 확대를 위해 서울 자치구와 농촌간 1대1 직거래를 추진한다. ‘생산(산지 생산자)-유통(자치구 공공급식센터)-소비(시민)’ 등 유통단계를 3단계로 줄이는 ‘식재료 공공조달 직거래시스템’을 2019년까지 812억원을 투자해 25개 전 자치구에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올해 50억원을 투자해 3~4개소를 추가설치한다. 하반기에는 1440㎡ 규모의 강서친환경유통센터 유휴시설을 개보수해 서남권 및 인근 자치구가 사용하는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한다.

박 시장은 “농촌에서 친환경으로 재배한 식재료는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복지지설 등에 공급할 것”이라며 “이들 기관의 친환경 식재료 사용비율을 2020년까지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초·중학교 수준인 70%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유통단계를 줄이면 지속가능한 도농상생을 실현하면서 건강한 식재료를 적정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에 따르면 친환경 식재료를 절반 이상 구매하고 있는 어린이집이 22%, 지역아동센터는 13%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찾동 사업에 임상영양사 배치…영양상태 위험 어르신 발굴·지원

시는 내년부터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와 연계해 임상영양사를 신규배치한다. 임상영양사들은 영양상태 위험도가 높은 어르신(65세 이상) 6000여명을 발굴해 ‘영양꾸러미(식품패키지)’를 지원한다. 시 관계자는 “연내 대상자 기준과 대상자별 지원 프로그램 등 내용을 담은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내년 5개 자치구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실시할 것”이라며 “영양꾸러미는 영양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된 집중관리군을 대상으로 지병이나 치아 상태 등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중 먹거리 지원이 필요한 가구에 대해 밑반찬 등 식료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식품바우처’를 새롭게 지원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식품바우처는 2020년까지 약 2만 가구를 발굴·지원하는 것이 목표”라며 “식품바우처의 지원금액, 지원절차 등 세부적인 내용은 올 하반기 실시 예정인 ‘서울 먹거리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식아동과 청소년들을 위한 급식 서비스도 확대·강화한다.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따뜻한 집밥 같은 ‘도시락형 급식 배달’은 내년부터 주 2회(현재 주 1회)로 확대하고 식당이나 편의점 등에서 쓸 수 있는 ‘꿈나무카드’는 가맹점을 2020년까지 현재 2000개에서 4000개로 늘릴 에정이다.

◇과일자판기 도입 등 건강한 먹거리 제공

시는 탄산 대신 과일·채소를 권장하기 위해 과일자판기 같은 과일·채소 판매시설을 구청이나 지하철 등 공공시설에 2020년까지 총 50개소를 설치한다.

먹거리에 대한 생활 속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식중독 예방진단 시스템’을 연내 개발해 내년 시범사업을 시행 후 2020년까지 서울 시내 모든 집단급식소로 확대 실시한다. 각 자치구마다 식중독 예방관리 전담인력을 확보해 식중독 발생률을 낮추는 데 주력키로 했다.

서울시로 들어오는 농축수산물 안전성 검사 강화를 위해 연간 1만8000건에 이르는 도매시장 안전성 검사를 2020년까지 2만8000건으로 늘리고 잔류농약 검사항목도 285종에서 340종으로 확대키로 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