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블랙리스트’ 의혹 박명진 문예위원장·김세훈 영진위원장 사표 수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실행 책임자로 지목됐던 박명진(7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과 김세훈(53)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9일 취임 직후 두 위원장의 사직서를 수리했다. 문체부는 이와 관련 “앞으로 공정하고 신뢰받는 기관을 꾸려갈 새로운 위원장을 선임하기 위해 문화예술계 의견을 적극 수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두 위원장은 19대 대통령 선거 직전인 지난달 8일 나란히 문체부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문체부는 감사원 감사가 진행 중인 점을 들어 수리하지 않았다.

박 위원장은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해오다 2015년 6월 문예위원장으로 취임했다.

내년 6월까지 3년 임기 가운데 1년 가까이 남겨놓은 상태다.

김 위원장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다 2014년 12월 영진위원장에 임명됐다. 올 12월까지 3년 임기 중 반년 정도가 남았다.

박 위원장과 김 위원장은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예술인을 정부 지원에서 배제하기 위한 명단인 ‘블랙리스트’의 실행 책임자로 지목돼 문화예술계로부터 퇴진 요구를 받아왔다.

감사원은 지난 13일 공개한 문체부와 소속기관에 대한 감사 보고서를 통해 박 위원장과 김 위원장의 ‘블랙리스트’ 관련 비위 내용을 문체부에 통보하고 인사자료로 활용하라고 요청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박 위원장은 문체부를 통해 내려온 청와대의 예술인들에 대한 부당한 지원 배제 지시를 거부하지 않아 이행되도록 방치했다. 김 위원장은 부당한 지원 배제 지시를 나서서 이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감사원은 2014~2016년 문예위와 영진위를 포함한 10개 기관에서 문화예술인·단체를 지원 대상에서 부당하게 배제한 444건의 사례를 적발했다. 이 가운데 문예위가 364건으로 가장 많았다.

영진위는 5건으로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다룬 영화 ‘다이빙벨’을 상영했다는 이유로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지원금을 삭감한 것 등이 포함됐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