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세계는 '놀이'에 미래 걸었다…아이에게 '놀 권리'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집자주] 2~3살짜리를 위한 사교육이 등장했다. 유치원때 한글은 물론 영어 학습도 기본이다. 초등학생부터는 학원에 시달리는게 일상이다. 시간이 있어도 만만치 않다. 공공시설이나 프로그램이 부족해 놀이도 비용이다. 어느덧 우리 아이들에게 '놀이'는 사라졌다. 반면 선진국들은 점점 놀이에 주목한다. 잘 놀아야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자란다는걸 깨달은 결과다. 특히 자율과 창의, 융합이 생명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놀이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우리 사회의 미래와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놀이의 재조명이 절실하다.

[[창간기획- 놀이가 미래다, 노는 아이를 위한 대한민국]①-1. 놀이의 부활]

머니투데이

"나비 잡고 싶어요. 잠자리채 없어요? 빨리 주세요." 묽은 옥수수가루 반죽을 만지고 놀던 소녀 중 하나가 나비를 잡겠다고 나섰다. 6~9살 소녀들 옷은 반죽이 튀어 얼룩덜룩하다. 엄마가 보면 빨래 걱정부터 하겠지만 아이들 표정은 더없이 해맑다.

높은 땅값으로 악명 높은 런던 도심 놀이터에서 만난 아이들이다. 원래 런던도 서울처럼 아이들이 뛰어놀 공간이 부족했다. 학업 부담도 컸다. 그랬던 이곳에서 아이들에게 '놀이'를 돌려주자는 바람이 분 것은 약 10년 전이다.

2007년 고든 브라운 총리 취임 후 아동과 청소년 복지를 강화하면서 이듬해 초 영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아동 놀이 정책'을 실시했다. 균등한 놀이 기회를 모든 아이들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기조 아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등 4개 지역 모두 힘을 모았다.

앞서 유엔(국제연합) 회원국이 1989년 채택한 유엔아동권리협약 31조가 처음 개별 국가 정책으로 제대로 실현됐다. 31조는 '아동은 놀이와 오락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인종, 가난, 성별 등 차별 없는 놀이 기회 제공이 핵심이다.

놀이는 건강한 신체 발달은 물론 정신 발달, 창의성 함양 등에 필수라는 학계 연구도 활발해졌다. 영국 이후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아동의 '놀 권리'가 재조명 받았다. 학교 시설과 프로그램 개선은 물론 자연 친화적 야외 놀이 수요도 늘었다.

우리 정부는 2015년 들어 놀 권리를 포함한 아동정책 기본계획을 세웠지만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다.

머니투데이는 우리보다 한발 앞서 아동 '놀 권리' 보장에 관심을 가진 영국을 비롯해 핀란드, 호주, 미국, 독일 등을 직접 찾았다.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미래와 건강한 사회를 위해 우리의 놀이 정책은 어디로 가야 할지 답을 구하는 여정을 7회 분량 기사에 담았다.

머니투데이

13일(현지시간) 미국 아이오와주 사이언스 센터(science center) 유치원에서 어린이가 라이트 테이블(빛이 나오는 테이블)을 조작하며 놀고 있다. 버튼을 조절해서 빛 색깔을 바꿔보는 놀이다. 아이는 이 놀이를 통해 빛의 변화를 배울 수 있다./사진=아이오와(미국)=방윤영 기자


영국, 독일, 미국, 핀란드, 호주=박종진 사건팀장 free21@, 진달래 기자 aza@, 김평화 기자 peace@, 방윤영 기자 byy@mt.co.kr, 김민중 기자 minjoo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